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원군 아영면 원산리 신지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노영현, 백일귀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노영현, 백일귀 외 |
지역개관 | 원산리 신지마을은 총 35호 80여 명의 주민이 벼·고랭지 감자·고추·채소 등을 재배하며 산다. 장은 동면 소재지에 있는 인월장을 보고, 더 큰 장은 경남 함양장을 본다.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를 채록했다. 청계리 고인마을은 총 30여 호 150여 명의 주민이 논농사, 소 사육을 하며 산다. 각성바지 마을. 장은 동면에 있는 인월장을 보러 가고, 큰 장은 남원이나 경남 함양장으로 간다. 논매는소리인 양산도를 채록했다. 의지리 의지마을은 총 30호 150여 명의 주민이 벼·배추 등을 재배하며 살고 있다. 인월장을 보며, 큰 장은 경남 함양장을 본다. 논매고 돌아올 때 부르는 질꼬내기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8일에 전라북도 남원군 아영면 원산리 신지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노영현, 백일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동부 산간의 전형적인 메나리조 교환창 형식의 모찌는소리이다. 한 사람의 창자가 두 절씩, 즉 주고 받는 대구(對句)인 안짝과 바깥짝을 다 부른다. 앞의 모찌는소리의 경우와 동일하다. |
가사 | 가 : 늦어가네 늦어를 가네 담배참이 늦어 가네
날랜 부소1) 불 털컥 쳐서 담배 한 대 피워 보세 나 : 이 봉 저 봉 양두나 봉에 정심고리가 떠너오네 앞에 가는 저 동무야 우리 정심 환영 가자 가 : 더디 오네 더디 오네 우리 정심 더디 오네 숟가락 닷 단 열닷 단을 세니라고 더디 오네 나 : 삼복 시절이 하도 더워 첩을 팔아 부채를 샀네 구시월이 돌아오니 첩의 생각 나 몬 살것네 가 : 해 다 지고 저문 날에 꼬삐 없는 소 나가네 콩가지를 껑꺼 들고 쫓아 가 가며 소 붙드네 나 : 진주 단성 원목정2) 에 찹쌀로 비빈 연엽주3) 야 딸을 나서 날 준 장모 이 술 한 잔 잡으시오 가 : 돔방 돔방 밀국수는 사위 상에 다 올렸네 노랑 감토4) 제쳐 씨고 몰국 씨기5) 원통하네 1) 부소: 부시. 부싯돌을 쳐서 불을 일으킴. 2) 진주(晋州) 단성(丹城) 원목정에: 경남 진주 부근의 정자 이름인 듯. 3) 연엽주(蓮葉酒): 연잎으로 빚은 술?. 4) 노랑 감토: 노란 감투. 상인(喪人)이 쓰는 모자(?). 5) 몰국 씨기: 멀국 쓰기. 건데기 없는 국물만 먹기. 6) 총초: 총초(叢草), 모든 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