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질꼬내기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원군 산내면 장항리 노루목의 질꼬내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도순, 김정애, 정산옥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도순, 김정애, 정산옥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남원군 산내면 장항리 노루목에는 총 67호 230명 주민이 벼·콩·깨를 재배하며 생활. 각성바지 마을. 인월장을 보고, 그 다음엔 경남 함양장, 그리고 남원장을 본다.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삼삼는소리, 질꼬내기 등, 총 25편 정도의 민요 채록.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9일에 전라북도 남원군 산내면 장향리 노루묵에서 채집한 질꼬내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도순, 김정애, 정산옥이 참여하였다. 모심을 때, 밭맬 때 등 들에서 일할 때도 불렀고, 일을 마치고 돌아가면서도 불렀다.(질꼬내기의 어원이 길군악이라는 설명도 있다.) 또한 여럿이 모여서 놀 때 흥이 날 적에도 부른 노래라고 한다. 남자, 여자의 구별이 없는 노래이다. 전북 장수군 계내면 대곡리 성곡마을을 녹음할 당시, 고개 넘어 경남 함양군 서상면에 이 질꼬내기를 잘 부르는 분들이 많다는 제보가 있었고, 실제 한국민요대전 경남편을 보더라도 질꼬내기는 경남에서도 거창과 함양에서만 채록되었다. |
가사 | 오동추야 달 볽은 밤에 헤헤
임으야 생객이 절로만 낭구나 하하 얼씨구나야 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나 갈소냐하 춥냐 덥냐 내 품에 들거라 하하 벨 것이 없걸랑 내 폴만 베어라 하하 그렇고 말고서 허허 다 헐 말인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를 갈소냐 노랑 호랑 세삼베 치매 헤헤 주름아 주름아 상내만 낭구나 하하 얼씨구나야 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나 갈소냐 팽풍치고 불썬 방에 헤헤 임으야 손질이 얼른 허네 허허 얼씨구나야 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나 갈소냐 임의 손짓 얼른 헌데 헤헤 유자야 상내가 절로만 낭구나 하하 얼씨구나야 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나 갈소냐 물아 물아 청산에 물아 허허 뭣이야 바빠서 흘러만 강구나 하하 얼씨구나야 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나 갈소냐 우리 조선에 벵이나 많아서 허허 약이나 씨자고 흘러서 강구나 하하 얼씨구나야 가 갔시믄 갔지 제가 설마나 갈소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