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살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원군 산내면 장항리 노루목의 시집살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산옥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산옥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남원군 산내면 장항리 노루목에는 총 67호 230명 주민이 벼·콩·깨를 재배하며 생활. 각성바지 마을. 인월장을 보고, 그 다음엔 경남 함양장, 그리고 남원장을 본다.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삼삼는소리, 질꼬내기 등, 총 25편 정도의 민요 채록.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9일에 전라북도 남원군 산내면 장향리 노루묵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산옥이 참여하였다. 새신랑이 공부하러 간 사이에, 새색시가 시집살이를 못견디고 대님으로 목을 매어 죽는 이야기를 노래하고 있다. 시집살이노래에는 이처럼 새색시가 시집살이를 견디지 못하고 나와서 머리 깎고 중이 된다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내용고 있고, 심지어는 시집식구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내용도 있다. |
가사 | 하늘겉이 높은 집이
다문 다문 다섯 갠수1) 나 하나를 남이라고 시누 깨논 옥동우를 날 깼다고 탓을 허네 시누 끊은 목단꽃을 날 끊었다고 탓을 허네 죽을라요 죽을라요 목을 잘라2) 죽을라요 아홉가닥 가붓대님3) 목 잘라서 죽을라요 천이 앉어 천 말 허고 만이 앉어 만 말 해도 내 말 없이는 못 죽니라 서당 공부 가여서 한 자 씨고 두 자 씨고 삼석 자를 거듭 씽께 펜지 왔네 펜지 왔네 임 죽었다고 펜지 왔네 한 손으로 받아 갖고 두 손으로 피어보니 임 죽은 펜지러라 붓을라컨 입에 물고 책일라컨 옆에 찌고 신은 벗어 손에 들고 두 발개로4) 네 활개로 집이라고 들어오니 원아 원아 동상 원아 느그 올케 어디 갔냐 엊지녁에 깊은 잠이 아침까지 깊었다요 이 방 저 방 다 제치고 내 방문을 방긋 연께 죽었구나 죽었구나 목을 잘라 죽었구나 아홉가닥 가붓 댓님 목을 잘라서 죽었구나 무주비단5) 한 이불은 둘이 덮을 듯 피어놓고 원앙침에 잣베게6) 는 둘이 벨듯이 도디 놓고 새벨 겉은 요강 대야 발질만치 도디나7) 놨네 원아 원아 동상 원아 칼 한 자리 들려도라 목을 질러 죽을란다 오랍시도 그 말 마소 뒷집이라 몯딸아기 셋째 장개 원헌다요 1) 갠수: 식구(食口)의 사투리. 2) 목을 잘라: 목을 졸라. 3) 가붓대님: 대님의 일종? 4) 발개로: 발로. 뒤의 “활개”에 맞추기 위해 “개”를 첨가한 듯. 5) 무주비단: 바단의 일종인 듯(?). 6) 잣베게: 양 마구리에 헝겊으로 잣 모양의 꾸미개를 붙여 만든 베개. 7) 도디나: 돋우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