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원군 이백면 과립리 과리·입촌의 대도둠소리 ·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111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남원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남원군)이백면 과립리 과리·입촌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6 , 대도둠소리·상여소리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전라북도 , 전북 , 남원시 , 1991 , 1995 , 상여소리 , 한승수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한승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한승수 |
지역개관 | 남원군은 전북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남쪽은 지리산을 경계로 경남 하동군, 동쪽은 경남 함양군, 서쪽은 순창군, 남쪽은 전남 구례군과 곡성군, 북쪽은 임실군,장수군에 접하고 있다. 동쪽, 북동쪽, 남동쪽은 소백산맥에 속하는 1000m 이상의 산지이고, 남서쪽 순창군과의 접경지대는 500∼700m 정도의 산지로 되어 있으며, 동면·운봉면·아영면 일대는 고원상의 분지가 발달되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1일에 전라북도 남원군 이백면 과립리 과리·입촌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한승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댓소리는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빈 상여를 놀리는소리이다. 발인소리는 발인시에 부르는소리이다. 행상소리는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가는소리이다. |
가사 | <댓소리>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아에헤 이오 마안보호 <발인소리> 관아 마안보오 관아 마안보오 관아 마안보오 관아 마안보오 관아 마안보오 관아 마안보오 <행상소리> 가세 가세 워서 가세 갈 길이 바쁘니 속히 가세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인제 가시면은 언제나 오실라요 명년 춘삼월 꽃피고 잎핀 날 오랴무나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나 죽었다고 설워 말고 느그덜이나 잘 살아라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일가 친척이 많다 해도 대신 갈 이가 누가 있냐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허허노 허허노 어이 가리 허허노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문경 새재가 웬 고갠가 구부구부야 눈물일세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옆에 양반덜 듣기 좋고 먼데 양반덜 보기 좋게 어노 소리를 잘 맞추게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하직허세 하직허세 마지막 가는 길에 내 고장 우리 집을 하직하고 떠나가세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어 노오 허노 하직으로 재배허세 어노 어노 어이가리 어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