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7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27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7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91230 |
생산자(처) | 학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7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27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27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9년 12월30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 제27집(第27輯)이다. 본 책은 405쪽로구성되어있다
특집:동아시아 민중들의 민요와 삶. 그 연구의 쟁점 기조발표 나승만, 동아시아 민요학계의 연구 경과와 새로운 동향들 마나베마사히로, 일본 가요사연구의 회고와 금후의 방향 논문 강등학, 한국의 민요연구 역사와 문제의식의 추이 권오경, 분랏 초티와치라, 태국민요의 전통과 민중들의 삶 박혜영, 조선족 '민간가요'의 사회적 생산과 태양촌 개척이주민의 수용 서간려, 중국 당대 가요연구에 관환 회고 최은숙, 한국 근대 민요에 관한 연구 경향과 쟁점 최헌, 韓國民謠 音樂的特徵의 哲學的意味 硏 허경진, 박은애, 『한어유취(韓語類聚)』에 채록된 19세기 말 민요에 대하여 허휘훈, 중국 동북민요와 그 문화 역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홍석준, 말레이시아의 전통예술과 이슬람 부흥의 문화적 의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