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원완창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용구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용구 |
지역개관 | 완창(完昌)은 언젠가는 완전히 창성히 된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현재 70여 호 230여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생업은 벼·고추·인삼 등을 많이 재배했으나 지금은 딸기·포도 등의 특수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 마을은 충남과 인접하고 있어서 생활권은 대전권에 속한다. 운주면 장설리에 1일 6일에 장이 선다. 큰 장은 논산·대전 쪽으로 간다. 이번에 모두 14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6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원완창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용구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한 사람이 메기고 나머지 사람들이 일정한 후렴을 받아나가는 선후창. 전북 평야지대의 일반적인 상사소리와는 조금 다르게 부르는 점에서 인근 충남(논산,금산) 소리의 영향을 생각하게 한다. 이 마을에서는 또한 논매는소리의 자진 소리로 “헐 헐 메메헐”이라는 독특한 후렴을 받는다. |
가사 | <상사소리>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작년에도 풍년이더니 금년에도 풍년이로고나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여보시오 농부님네 이내 말을 들어보소 천하지대본은 농사 밖으 또 있는가 우리도 놀지 말고 농사일에만 힘쓰세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여기도 꽂고 저기다가도 꽂고 패랭이 꼭지에 매화를 꼽세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다 뒤였구나 다 뒤였네 서 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치만 남었구나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니가 무슨 반달이드냐 초생달이 반달이지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이번 소리가 끝나거든 자진 가락으로 넘어가 얼른 심고 잠깐 쉬어서 허세 헤헤헤야 어허 에헤헤야라 상허뒤여 <자진 상사소리>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일락서산으 해는 지고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나의 갈 길은 천리로구나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임은 죽어 열녀가 되나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말은 가자고 네 굽을 치는디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임은 날 잡고 아니나 놓네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니가 잘나 일색이든가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내 눈이 어두워 환장이로고나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에야 어허야 상사뒤야 에야 허허야 상사뒤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