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살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의 시집살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진선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진선순 |
지역개관 | 항가리는 마을이 한 곳에 밀집된 것이 아니라 뜸뜸이 떨어져 있다. 예전에는 당래,승댕이,고삿밭,잣대기 등의 마을이 있었는데, 새마을사업 때 통합되어 80년도에 신전(新田)으로 통합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 시내권과 가까워 시내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 산다. 현재 100여 호에 본토인들이 400여 명 거주하고 있으며, 외지인을 합하면 더 많은 숫자이다. 성씨는 주로 연안 이씨가 많으며 그 밖에 각성바지들이 거주한다. 주생업은 벼농사이며 은행도 많이 난다. 부락 앞으로는 전주-신전-운암-순창으로 통하는 큰 도로가 있고 전주예술고등학교가 95년도에 개교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동네 주민들이 필봉농악을 전수받고 있다. 이번에 총 16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7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진선순이 참여하였다. 친정 엄마와 동네 어른들에게서 배웠다고 한다. 새신랑이 서울로 공부하러 간 사이에 새댁은 남아서 고된 시집살이를 하다가 시댁식구들이 준 비상을 먹고 죽었다. 이 노래에는 시댁식구들이 새댁을 죽이는 연유가 전혀 드러나 있지 않아 의문스러우나, 어떤 연유로든 더러 이렇게 며느리를 죽이는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케 하는 노래이다. |
가사 | 강남 땅땅 강냅이는
시집가기 원허더니 시집간 샘일 만에 정지라고 나가보니 시금시금 시아바니 제 방문을 빵긋이 열더니 어제 온 메눌아가 손발 씻고 들오니라 시금시금 시어마니 정지문을 빵긋이 열더니 어제 온 메눌아기 손발 씻고 들오니라 시금시금 시누아기 뒤안문을 빵긋이 열더니 어제 오신 새 성님께 손발 씻고 들오시오 시금시금 도령님은 퇴창문을 빵긋이 열더니 어제 온 새 성수께 손발을 씻고 들오시오 손발 씻고 들어간게 비상 타서 영거놓고1) 간장 타서 덮어놓고 한 모금을 마서보니 머리야 간고2) 로다 두 모금을 마서보니 잔 뼤는 물러나고 굵은 뼤는 솟구친다 시 모금을 마서보니 아주 가고 여영 갔네 서울 간 선비님께 서신 동구3) 를 하여 보면 이런 꼴이 무슨 꼴이며 동네 일천이 알고 보면 이런 꼴이 먼 꼴인가 장인 장모가 알고 보면은 이런 나라가 무슨 나라 서울 간 선비님께 오동통통 뛰어오데 에라허고도 요망헌 사람 시집살이가 강허다니 잠자리가 낮잠자기가 웬말인가 분통 같은 요내 손질 진맥이나 하여 보세 진맥을 하여 보니 아주 가고 여영 갔네 동네 사람으 알으시면 이 나라가 무슨 나라 장인 장모가 알으시면 이 사련이 무슨 사련 나도 야야 너와 같이 천상 당상 곳에 천상배필 맺을 적으 백년 동구 사잤더니 이런 꼴이 웬 말이냐 너 죽으면 나도 가고 나 죽으면 너도 가고 나의 줄기를 지키라 힜더니 그 정 버리고도 니가 갔냐 에라허고도 요망헌 사람 이러구 저러구 얼씨구나 내가 이리 살아시는 모왕금사가4) 딸이로다 . (그맀어요 ) 1) 영거놓고: 얹어놓고. 2) 간고(艱苦)(?). 3) 서신 동구: 서신(書信) 통고(通告). 편지를 보냄. 4) 모왕금사가: 훌륭한 집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