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도령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의 강도령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순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순자 |
지역개관 | 항가리는 마을이 한 곳에 밀집된 것이 아니라 뜸뜸이 떨어져 있다. 예전에는 당래,승댕이,고삿밭,잣대기 등의 마을이 있었는데, 새마을사업 때 통합되어 80년도에 신전(新田)으로 통합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 시내권과 가까워 시내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 산다. 현재 100여 호에 본토인들이 400여 명 거주하고 있으며, 외지인을 합하면 더 많은 숫자이다. 성씨는 주로 연안 이씨가 많으며 그 밖에 각성바지들이 거주한다. 주생업은 벼농사이며 은행도 많이 난다. 부락 앞으로는 전주-신전-운암-순창으로 통하는 큰 도로가 있고 전주예술고등학교가 95년도에 개교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동네 주민들이 필봉농악을 전수받고 있다. 이번에 총 16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7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에서 채집한 강도령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순자가 참여하였다. 일반적으로 동학농민전쟁이나 전봉준과 관련된 민요로 알려져 있는 노래이다. 전국 각지에 두루 분포하며 오히려 동학농민전쟁과 관련된 지역에서는 이 노래를 찾기 힘들다. 대개의 가창자는 이 노래를 신민요 곡조로 부르며 “나온 지 얼마 안된 노래”라고 하였다. |
가사 | 강돌 강돌 강도령
강돌책을 옆에 찌고 무장땅으1) 장개간게 서른 두 칸 대문 달고 인물 평푼 둘러 치고 하지 평푼 둘러 치고 좌회2) 로 둘러치고 누웠구나 에라 요년 큰방의 쟁인 장모 왼 절은 못 받어도 반 절이나 받읍소사 작은 방의 처남 남매 왼 절은 못 받어도 반 절이나 받읍소사 에라 요년 내 집이 가는 뇜이 낫것다 서랴친 날 지 어치 가랴3) 해촌해촌 꺾어 가자 1) 무장땅으: 무장 땅에. 무장은 전북 고창에 무장현이 있던 곳. 2) 좌회: 좌우. 3) 서랴친 날 지 어치 가랴: 서리친 날 어찌 가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