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빨래질 가자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의 빨래질 가자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순자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순자 |
지역개관 | 항가리는 마을이 한 곳에 밀집된 것이 아니라 뜸뜸이 떨어져 있다. 예전에는 당래,승댕이,고삿밭,잣대기 등의 마을이 있었는데, 새마을사업 때 통합되어 80년도에 신전(新田)으로 통합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 시내권과 가까워 시내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 산다. 현재 100여 호에 본토인들이 400여 명 거주하고 있으며, 외지인을 합하면 더 많은 숫자이다. 성씨는 주로 연안 이씨가 많으며 그 밖에 각성바지들이 거주한다. 주생업은 벼농사이며 은행도 많이 난다. 부락 앞으로는 전주-신전-운암-순창으로 통하는 큰 도로가 있고 전주예술고등학교가 95년도에 개교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동네 주민들이 필봉농악을 전수받고 있다. 이번에 총 16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7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에서 채집한 빨래질 가자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순녀가 참여하였다. 남편의 외도로 인한 괴로움을 노래이다. 친형제간이 불렀는데도 앞의 노래와 조금 다르다. 이 “진주낭군” 노래는 지명이 경남 진주임에도 불구하고 전북에서는 특히 완주,정읍,부안,고창군 등에서 주로 채록되었다. |
가사 | 빨래질 가자 빨래질 가자
앞냇갈로 빨래질 가자 은통으다 은방맹이 은또가리 받쳐 잇고 앞냇갈로 빨래질 간게 그와 같은 도령님이 하늘 같은 호말 타고 옆으로 살짝 지내 가는구나 소리를 허자니 냄이 군속 알어1) 눈을 치자니 지가 몰라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정 빨래 검게 빨고 어서나 동동 빨어갖고 집이나 동동 가서보니 시금시금 시어마니 하시는 말씸 이야 아가 메늘아가 아르방으 이도령이 오싯단다 오동통통 뛰어가니 기상첩을 옆에 놓고 권줄개2) 를 하는구나 집이나 통통 돌아와서 장농 속으 멩지비3) 석 자를 내어갖고 목을 메어 죽었구나 어이 하라고 죽었는가 기상첩은 삼 년이고 본주주4) 는 백 년인디 어이 하라고 죽었는가 1) 군속 알어: 속에 품은 딴 마음을 알어. 2) 권줄개: 권주가(勸酒歌). 3) 멩지비: 명주베. 4) 본주주: 본처(本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