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주낭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의 진주낭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순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순녀 |
지역개관 | 항가리는 마을이 한 곳에 밀집된 것이 아니라 뜸뜸이 떨어져 있다. 예전에는 당래,승댕이,고삿밭,잣대기 등의 마을이 있었는데, 새마을사업 때 통합되어 80년도에 신전(新田)으로 통합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 시내권과 가까워 시내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 산다. 현재 100여 호에 본토인들이 400여 명 거주하고 있으며, 외지인을 합하면 더 많은 숫자이다. 성씨는 주로 연안 이씨가 많으며 그 밖에 각성바지들이 거주한다. 주생업은 벼농사이며 은행도 많이 난다. 부락 앞으로는 전주-신전-운암-순창으로 통하는 큰 도로가 있고 전주예술고등학교가 95년도에 개교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동네 주민들이 필봉농악을 전수받고 있다. 이번에 총 16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8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항가리 신전에서 채집한 진주낭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덕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전북 평야지역의 전형적인 모심는소리이다. 대개는 긴 소리와 자진 소리의 분화가 있는데, 이 마을에서는 자진 소리를 채록하지 못했다. “여보시오 농부님네 / 이 내 말을 들어보소 / 아나 농부야 말 좀 듣소” 라는 구절이 꼭 들어간다. |
가사 | 멩지베 석 자로
목을 메어 죽었다네 울도 담도 없는 데로 시집간 삼 년만에 시어마니 허신 말씸 야야 야야 아가 메눌아가 진주낭군 볼라거든 진주 땅으 빨래가라 진주 땅으 빨래가니 독1) 도 좋고 물도 좋데 검은 빨래 검게 빨고 흰 빨래는 희게 빠니라 허니 우둥퉁퉁 소리 들려 옆눈이로 실쩍 보니 진주낭군이 하눌 같은 말을 타고 구름 같은 갓을 씨고 기생첩을 옆으 찌고 본치 만치 지내가데 검은 빨래 검게 빨고 흰 빨래를 희게 빨어 집이 돌아오니 시어마니 허신 말씸 아가 아가 메눌아가 진주낭군 볼라거든 건네방으 건네가라 건네방으 건네가니 오색 가지 상을 놓고 기상첩을 옆으 찌고 본치 만치 허데 아랫방으 건네와서 만리 강산 유수2) 써 놓고 멩지베 석 자로 목을 메어 죽었다네 죽었단 말을 듣고는 외씨 같은 버선발로 오동통통 뛰어나와 여보게 여보게 어쩌다가 허둥지둥 죽었는가 기상첩은 삼 년이고 조강지처는 백 년인디 어쩌다가 죽었는가 1) 독: 돌[石]. 2) 유수: 유서(遺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