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우야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지동의 논매는소리-방개소리 · 우야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11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완주군 |
생산지역 상세 | 용진면 운곡리 지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7 , 논매는소리 , 방개소리·우야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전라북도 , 전북 , 완주군 , 1991 , 1995 , 우야소리 , 이봉교 , 이덕복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이봉교, 이덕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봉교, 이덕복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지동은 동네 위에 방죽이 하나 있는데, 그 방죽을 못이라 해서 지동(池洞)이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한다. 160여 호 6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전주 이씨, 전의 이씨가 주로 많고 그 밖에 최씨와 각성바지 성씨들이 살고 있다. 생업은 벼농사이며 이외에도 생강·고추 등을 재배한다. 장은 인근 봉동장을 보러 가며, 큰 장은 전주로 간다. 이번에 2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8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지동에서 채집한 우야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덕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의 방개소리는 특이하게 후렴 중간에 샛소리(샛뵈기소리)가 있다. 메기는소리는 특정한 한 사람이 계속하지만, “메기는소리가 너무 대간해서(힘들어서)” 중간에 아무나 한 마디씩 샛소리를 넣어준다. 옛날부터 그렇게 해왔다고 한다. 샛소리는 아무라도 흥겨운 사람이 “생각나는 대로” 자유롭게 나서서 부르는데, 이기만(50), 이덕복(66), 최선규(55)씨가 산아지타령조, 육자배기 등 제각각으로 불렀고, 받는소리는 모두 함께 받았다. 논은 6월에 세번 매는데, 초벌, 두벌 맬 때는 호미로 땅을 파고, 세벌(만두리)은 손으로 풀만 뜯는다. 방개소리는 논맬 때면 어느 때나 불렀으나, 주로 초벌, 두벌 맬 때 많이 불렀다. 우야소리는 석양쯤에 가서 논매기 일이 거의 끝나갈 무렵에 한다. |
가사 | <방개소리>
에헤야 하허어허 허허이히 허허헤야허 응아어헝어 오호로다 에헤야 하에에헤 허허이히 에에헤야허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골목 골목 연기만 나네 응아어허어 오호로다 남문 열고 파래1) 를 치면 계명 산천이 밝어나 온다 에헤야 하에에헤 허허이히 에에헤야허 다도 맸네 다도나 맸네 호무자루 싯쳐 들고 집이로나 가세 응아 어 응허 오호 로다 산천초목은 젊어나 가고 우리네 인생은 늙어만 가노라 에헤야 하에에헤 허허이히 에에헤야허 나렸다네 나렸다네 전라어사가 나렸다네 에헤야 하에에헤 허허이히 에에헤야허 점심바구니 떠들어온다 떠들어온다 떠들어온다 어서 빨리 지심을 맵시다 점심바구니 떠들어 온다 응아 어 응허 오호 로다 돌아왔네 돌아를 왔네 풍년 세월이 돌아를 왔네 에헤야 하에에헤 허허이히 에에헤야허 이 소리 끝나고 우여차로만 부르세 <우야소리> 우야어허 ! 우야어허 우야 소리가 나거든 우야어허 양쪽 벼루가 입을 맞추고 우야어허 우야소리가 나거들랑 우야어허 높은 데 찍어다 짚은 데 미고 우야어허 우그려 ! 우그려 ! 1) 파래: 파루(罷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