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지동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덕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덕복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지동은 동네 위에 방죽이 하나 있는데, 그 방죽을 못이라 해서 지동(池洞)이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한다. 160여 호 6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으며, 전주 이씨, 전의 이씨가 주로 많고 그 밖에 최씨와 각성바지 성씨들이 살고 있다. 생업은 벼농사이며 이외에도 생강·고추 등을 재배한다. 장은 인근 봉동장을 보러 가며, 큰 장은 전주로 간다. 이번에 2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18일에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지동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덕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운상소리는 상여를 메고 운상하는소리이다. 짝소리는 산을 오르거나 먼 길을 가야할 때 빨리 가기 위해서 두 편으로 나누어 하는소리이다. 전북에서는 완주,익산,정읍 등에서 이처럼 짝소리, 두마디 소리, 네마디 소리, 팔마디 소리 라고 하여 사설은 달리 없이 후렴만 메기고 받으면서 빨리 이동하는소리들이 있다. |
가사 | <운상소리>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허망허네 허망허네 인간살이 허망허네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명사십리 해당화야 네 꽃 진다 서러 마소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가는 청춘 못 붙들고 오난 백발 못 막겄네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먹던 수제 개덮어노니 수제 저분이 삼 녹이 끼냐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산천초목은 젊어나 가고 우리네 인생은 늙어만 가노라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공 드나니 백발이요 면치 못 할 건 인생 죽음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인제 가이면 언제나 오시나 내년 요 때 다시 올라오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황천길이 머다더니 건네 산이 황천인가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일장 통곡 애원성은 단장곡으로 울음 운다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이 소리 끝나면은 짝소리나 허여 봅시다 어허 어허 어허이 어허 <짝소리>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허허 허허어 허헤 허허이 허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