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떵기 떵기 떵산아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익산군 용동면 흥왕리 돈다산의 아이어르는소리-떵기 떵기 떵산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낭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낭규 |
지역개관 | 돈산마을과 다산마을을 합하여 돈다산(敦多山)이라 하며, 두 마을의 총 80여 호 250여 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고, 마을에서 오 리 정도 떨어진 함열장을 보며, 큰 장은 강경으로 많이 간다. 총 27곡 정도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23일에 전라북도 익산군 용동면 흥왕리 돈다산에서 채집한 떵기 떵기 떵산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낭규가 참여하였다. 아이를 여러가지 좋은 것에 비유해 가면서 어르는소리이다. |
가사 | 떵기 떵기 떵산아
널러가는1) 학상아2) 구름 밑이 신선아 들 가온데 증아도3) 가지밭이 명왓대4) 더풀 밑이 불무치5) 애기머리 진질새6) 큰애기머리 서광새7) 1) 널러가는: 날아가는. 2) 학상아: 학선(鶴仙)아. 3) 증아도: 벼품종 이름? 4) 명왓대: 명아주대. 명아주는 풀이름. 어린 잎과 종자는 식용하고, 줄기로는 지팡이도 만듦. 5) 불무치: 풀무치. 메뚜기과. 6) 진질새: ? 7) 서광새: 석왕(釋旺)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