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벼떠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익산군 함열읍 석매리 석치의 벼떠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용복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용복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읍 석매리 석치는 옛날에 마을 앞에 돌고개가 있어서 돌고개라고 불리다가, 석치(石峙)로 바뀌었다. 총 67호 정도에 250여 명이 주로 벼농사를 하며 살고 있다. 정씨와 신씨가 많이 산다. 생활권이 주로 함열읍이고, 함열장을 본다. 예전에는 가마니를 많이 치기로 유명했으나 지금은 하지 않는다. 총 15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24일에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읍 석매리 석치에서 채집한 벼떠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용복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나락 떨어낼 때 부르는 노래이다. 나락 다발을 작게 묶어 줄에 감아서 때리면 나락 이삭이 떨어진다. “학독”(확돌, 호박돌)을 엎어놓거나 나무통(“개상” 또는 “채상”)에 대고 때린다고 한다. |
가사 | 에헤야
닭 잡고 술 먹자 에헤야 여그도 치고 저그도 쳐소 에헤야 을방 없이 때려 주소 에헤야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에헤야 얼씨구 좋다 지화자 좋구나 에헤야 닭 잡고 술 먹자 에헤야 어허야 에헤야 어경차 어경차 소리를 허소 에헤야 어허야 에헤야 가면 가고 말면 말지 에헤야 십리를 못가고 발병 난다 에헤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