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둥가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익산군 함열읍 석매리 석치의 아이어르는소리-둥가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헌범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헌범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읍 석매리 석치는 옛날에 마을 앞에 돌고개가 있어서 돌고개라고 불리다가, 석치(石峙)로 바뀌었다. 총 67호 정도에 250여 명이 주로 벼농사를 하며 살고 있다. 정씨와 신씨가 많이 산다. 생활권이 주로 함열읍이고, 함열장을 본다. 예전에는 가마니를 많이 치기로 유명했으나 지금은 하지 않는다. 총 15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24일에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읍 석매리 석치에서 채집한 둥가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헌범이 참여하였다. 전체 내용으로 보면 아이 어르는소리인데, 후렴으로 보이는 아아아, 에 에에, 어 어허 어기요 등은 개구리타령의 후렴과 비슷하다. 중간에 판소리 적벽가의 가사가 끼어들어, 판소리와 민요의 혼합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마을에 살던 이길종이라는 사람에게 배웠으며, 흥겹게 놀 때 흥을 돋우려고 부르는 노래라고 한다. |
가사 | 반갑네 반갑네
어디 갔다가 인제 와 하날에서 떨어졌나 땅에서 불끈 솟았지 아 아아 에에 어어 어기요 새줏바람 연포로1) 생객없이는 춘조월색2) 어떠 헐애비 귀가불3) 오동밑이 큰아기란다 그글 그글 그그리요 둥 둥 둥 내 아들 어히 히히 이히 어기요 너를 너늘 너를 너를 삼자독자 외아들로 우리 마누래가 포태하였던가 하루넌 하이구 배야 하이고 허리야 탄생을 허고 보니 딸이라도 반갈텐데 깨복4) 불알에 꼬추야 자지가 대롱대롱 달렸네 아아아 에에에 어어허 어기요 1) 새줏바람 연포로: 서주(徐州) 바람 연파(煙波)로(?). 2) 생객없이는 춘조월색: 생각 없는(무심한) 춘조월색(春潮月色)(?). 3) 귀가불: ? 4) 깨복: 깨벗은에서 나온 듯. 깨벗은은 발가벗은의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