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상사소리, 자진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 · 자진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갑근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갑근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에는 총 55호 200여 명의 주민이 주로 벼농사를 하고, 밭작물로는 고구마도 많이 재배한다. 오씨, 이씨, 박씨가 많다. 생활권은 주로 이리. 총 20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8월 19일에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 상사소리, 자진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갑근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은 농요로 지방 무형문화재를 지정받은 마을로서 논파는소리, 모심는소리(농부가)를 비롯하여, 논매는소리(긴방애타령, 자진방애타령, 만물산야), 벼베는소리(벼베는 산야), 등짐소리, 타작소리, 방아찧는소리 등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그 외에도 장원질소리, 산타령 지게목발노래, 다듬이질노래, 선화공주노래 등도 부르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박갑근씨가 창작한 것들이다. |
가사 | <상사소리>
어여 여허여루 상사뒤여 어여 여허여루 상사뒤여 여보시오 농부님네 요 내 한 말 들어보소 아나 농부야 말 좀 듣소 한 일 자로 쭉 늘어서서 입 구 자로만 모를 심세 어여 여허여루 상사뒤여 남훈전 달 밝은디 순임금의 놀음이요 학창의 푸른 도솔이 산신님의 놀음이요 오뉴월이 당도허니 우리 농군 시절이로다 패랭이 꼭지에다 계화를 꼽고서 매화라기춤이나 추어 보세 어여 여허여루 상사뒤여 <자진 상사소리> 여여 여어 여허루 상사뒤여 여여 여어 여허루 상사뒤여 나렸단다 나렸단다 암행어사가 나렸단다 여여 여어 여허루 상사뒤여 충청도 중복장은 요지가지가 열려 있고 적벽강 추야월1) 은 아그데 다그데 열렸네 여여 여어 여허루 상사뒤여 1) 적벽강(赤壁江) 추야월(秋夜月): 대개는 강남대 강대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