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게목발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의 수록되어 있는 지게목발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갑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갑근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에는 총 55호 200여 명의 주민이 주로 벼농사를 하고, 밭작물로는 고구마도 많이 재배한다. 오씨, 이씨, 박씨가 많다. 생활권은 주로 이리. 총 20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8월 19일에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오룡리 검지에서 채집한 지게목발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갑근이 참여하였다. 산에서 나무하는 초군들이 부르는 노래라고 한다. 가창자는 “이 마을에서 나무하는 초군들의 산타령으로 육자배기를 주로 불렀는데, 이 노래는 그전 어른들이 일러줘서 알았다”고 했다. 나무하던 초군들이 배고플 때 남의 콩밭에서 콩서리를 해서 먹거나, 정월까지 밭에 남아 있는 콩대를 뽑아다 구워 먹는 일은 종종 있었으나 이 노래는 본인의 창작에 의한 것이다. 전북에서 일반적으로 “지게목발노래”라고 하면 나뭇군들이 산에서 나무하면서 부르는 노래를 의미하고 주로 육자배기나 흥타령 또는 산야 등을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앞산에 불질러라 콩 태먹고 건너가세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낙랑장송 몸통 좋아 상대들보가 되고요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벡오동은 살결 고와 거문고 복판 되고요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설죽나무1) 마디 좋아 명창 퉁수가 되고요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어떤 사람 팔자 좋아 호의호식 잘 사는데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이내 신세 어이 하야 지게목발 못 면하나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부귀영화 부러 마소 내 몸 일신 천만금일세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먼 디 사람 보기 좋고 가깐 사람 듣기 좋게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지게 목발 장단 맞춰 재미있게 놀아볼까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오늘 해도 다 갔나봐 골골마독 연기로세 콩 꺾자 콩 꺾자 두렁 넘어 콩 꺾자 1) 설죽(雪竹)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