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벼베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옥구군 대야면 보덕리 안정의 벼베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창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창래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보덕리 안정에는 총 30호 180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살며, 작은 장은 대야장, 큰 장은 군산장을 본다. 이 마을에서 논농사에 관련된 민요를 비롯, 총 14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30일에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보덕리 안정에서 채집한 벼베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창례가 참여하였다. 이 마을의 논농사 노래로는 모심는소리로 상사소리를 부르고, 논매는소리는 진방아타령(농가소리)과 몬들소리, 칠월 만두레 때 손으로 매면서는 만두레소리(산아지타령), 역시 만두레 때 풍장을 치면서 부르는 세마디소리 등이 있고, 그 밖에 나락베는소리와 등짐소리(오호소리) 등이 있다. |
가사 | 어우 허구
어우루구나 에우루구나 어허 어후 허구 일락서산에 해는 넘어가고 월출동령으 달이 솟는다 에헤 에후 허구 걸구 닥디려라 걸구 닥디려라 열이 열두 포구를 걸구닥 디려라 어허 어허우 허구 여봐라 농부들 여보게 동무님들 어얼 날이 저물어 밤이 어두면은 나락 뭇이 혹간 빠지는 수가 있으니 여기저기 잘 살펴서 나락을 쳐내세 어허 어허우 허고 일락서산에 해는 벌쎄 넘어간 지 오래고 월출동령으는 달이 솟아서 휘양청 밝었구나 어허 에후루구나 에후루구나 에우 허고 이 사람들아 집에 가면은 초저녁잠 많은 사람들은 벌쎄 한 소금썩1) 잤것네 이 사람들아 빨리 빨리 쳐내고 집으로 가서 저녁 먹고 마누래하고 품자리2) 으 잠들 자세 에헤 에우 허구 1) 한소금썩: (잠을) 한숨씩. 2) 품자리: 잠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