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야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옥구군 대야면 보덕리 안정의 나무꾼신세타령-산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창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창래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보덕리 안정에는 총 30호 180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살며, 작은 장은 대야장, 큰 장은 군산장을 본다. 이 마을에서 논농사에 관련된 민요를 비롯, 총 14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30일에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보덕리 안정에서 채집한 산야이다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창례가 참여하였다. 음력 7, 8월에 산에 가서 솔가지를 따면서, 나무하면서 하던 소리라고 한다. 서부 평야의 익산군, 옥구군, 김제군에서 이 노래가 발견된다. 옥구군에서 세 곳에서 채록되었는데 가창자들은 이 노래를 “나무하면서 부르는소리”, 또는 “강원도 정선아리랑조”라고 설명한다. 김제군의 경우 이 노래를 만두리소리로 부른다. 경상도의 나무꾼소리 어생이/어사용/얼산영과 관련이 있고, 가면극/탈춤의 영감 할미과장의 민요적 재담들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
가사 | 영감아 영감아 영감아아
영감아 영감아 영감아 신축년 숭년에 보리개떡 마다고 나간 영감아 아이구 아이구 아이구 어디로 갔소 어디로 갔소 어디로 어디 가 계시오 영감아 영감아 날 좀 보시오 날 좀 보시오 동지섣달 꽃 본 닷이 날 좀 다시 좀 보시요오 영감아 영감아 열아홉 살 먹은 딸이 스물한 살 먹은 손녀딸을 두었는디 손녀딸을 찾으랴고 어허어 조선팔도 어허어 전라도 오십삼관을 다 찾고 어허 강완도로 올라가서 어허 금강산을 가서 찾는디 금강산 일만이천 봉 팔만 구암자에서 금강산 모튕이 돌아가믄서 허는 말이 딸아아아 딸아 딸아 딸아 내 딸아 어디를 갔냐 금강산 일만이천 봉 팔만 구암자를 다 찾어봐도 우리 딸 종적은 어어없네 여보 여보 여보 영감님 신축년 숭년이 보리개떡 마다고 나갔던 영감 딸도 찾고 손녀도 찾어보오세 어 허 어허으 어허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