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볏짐나르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옥구군 회현면 금광리 금광의 볏짐나르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태모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태모 |
지역개관 | 대지산마을은 총 26호 100여 명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살아가고, 작은 장은 대야장, 큰 장은 군산장으로 간다. 각성바지 마을이며, 장사를 주업으로 하는 집도 20% 정도 됨. 이 마을과 인근의 금광리 금광마을의 창자들로부터 논농사 관련 민요를 중심으로 총 19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30일에 전라북도 옥구군 회현면 금광리 금광에서 채집한 볏짐나르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태모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나락을 다 비어놓고 작대기춤 추며 하는소리”라 한다. 등짐꾼들은 나락을 12-14다발씩, 선(先)등짐은 6다발만 (지게)등짐으로 지고 마을의 집으로 옮길 때 부르는소리이다. 대개 20-30명의 등짐꾼들(마을에 따라서는 8-10명)이 선등짐을 따라 “화지게를 짊어지고서” 일렬로 늘어서 이 노래를 부르며 마을의 주인집으로 들어가 술놀이를 벌이게 된다. 노래를 부르는 광경은 신부집에 함이 들어가는 것처럼, 선등짐이 함진아비 흉내를 내며 얼굴에 검댕칠을 하고 닭잡아 내놓지 않으면 등짐을 지고 다시 돌아가겠다면서 주인과 흥겨운 실랑이를 벌이기도 한다. 즉, 선등짐은 밀대모자 대신 삿갓처럼 짚을 묶어서 쓰고 집앞에 가서는 좀처럼 안 들어가고 애를 먹이다가 닭을 잡아내고 해야 들어간다. 점심을 먹고나면 소리를 시작해서 저녁 끝 무렵에 샛술도 먹고 닭잡고 장난질을 시작하는데, 그 집 머슴을 앞세우고 소리를 시키기도 한다.(이상은 익산군 여산면 두여리 금곡마을 박노성 씨의 제보를 주로 참고한 내용이다.) 이런 계통의 등짐소리는 익산군·옥구군·김제군·부안군·고창군 등지에서 발견된다. 사설은 대개 “닭잡고 술 내오라”는 구절이 들어있고, “바늘 같은 이내 몸에 태산 같은 짐을 지고.”라는 구절이 대개 첫머리를 장식한다. |
가사 | 아헤 어허허 허허이 에헤야
아헤 어허허 어허이 에헤야 여보시오 쥔양반 빨리 빨리 닭을 잡소 아헤 어허허 어허이 에헤야 닭을 쥔양반이 안 잡으면 우리 일꾼이 잡것네 아헤 어허허 어허이 에헤야 아헤 어허허 어허이 에헤야 아헤 어허허 어허이 에헤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