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야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옥구군 회현면 대정리 대지산의 산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창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창석 |
지역개관 | 대지산마을은 총 26호 100여 명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살아가고, 작은 장은 대야장, 큰 장은 군산장으로 간다. 각성바지 마을이며, 장사를 주업으로 하는 집도 20% 정도 됨. 이 마을과 인근의 금광리 금광마을의 창자들로부터 논농사 관련 민요를 중심으로 총 19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1월 30일에 전라북도 옥구군 회현면 대정리 대지산에서 채집한 산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창석이 참여하였다. “퉁소 부는 사람이 부르는소리”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산유화의 대답”이라는 사람도 있다. 앞의 벼베는소리 해설 참조. |
가사 | 영감아 영감으
칠월 콩밭 만두레 때 뫼뚜기한티 채아 죽은 영감아 영감은 가더래도 연장 망태기나 두구 가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