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육자배기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옥구군 개정면 아동리 동정의 육자배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주홍, 유천석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주홍, 유천석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옥구군 개정면 아동리 동정에는 총 70호 320명 주민이 벼농사와 원예채소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사는 각성바지 마을. 작은 장은 대야장, 큰 장은 군산장을 봄. 여기서는 논농사에 관련된 민요를 비롯, 총 27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1일에 전라북도 옥구군 개정면 아동리 동정에서 채집한 육자베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주홍, 유천석이 참여하였다. 전라도 전역에서 두루 불려지고 있는 노래이다. 일종의 소리판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이 노래에 나타나는 창법이 전라도에서는 대표적이기 때문에 전라도 민요의 창법을 육자배기조 혹은 육자배기토리라고 하게 되었다. 전북 서부 평야지역으로부터 시작해서 전남의 서부 남부에 널리 퍼져 잇다. |
가사 | 가 : 사람이 살면은 몇백 년이나 사더란 말이냐
죽엄으 들어 남녀 노소 있나 살어 생전이라도 각기 맘대로 놀 거나아 헤에 나 : 인연이 있고 이러드냐 연분이 못 되어 이러든가 천상차상 무삼 죄로 너고 나고 삼겨서 연분이 당털 못 혀 이 지경이 웬일인 거나아 헤에 가 : 자든 님 방 들어갈 저 상단이게1) 붙들리어 이리 비틀 저리기 흔들 정신없이 들여가서 알상을 부여잡고 방성통곡 애슬피 우는 모냥 사람으 인력으로 차마 나는 못 볼 거나아 헤에 나 : 후유 한숨 질게 쉬고 창 닫고 문 열치고 내다보니 적막한 구름 밖으 별과 달은 밝었는데 다만 생각이 저그 저 사람뿐이로 거나아 헤에 가 : 인연이 있고도 이리를 허든가 연분이 아니 될랴고 이리를 허는가 천상자상 무삼 죄로 우리 둘이 삼겨를 나서 하이고 내 속이 답답허는 줄을 어느 뉘 알아줄 거나아 헤에 나 : 어젓밤 꿈 속이 기러기 보더니 오늘 아참 오동 우헤 간치 앉어 짖었으니 아니나 기별이 올까 아니나 소식이 올까 기다리루고 바래도 일락은 서산헌디 종무소식이로 거나아 헤에 가 : 니가 날 보고 사자 사자 하였지 내가 널더러 졸르더냐 석 달 열흘도 다 못 가서 이별이란 말이 웬 말이냐 아이고 내 속이 썩고 다 타는 줄을 어느 뉘가 알아줄 거나아 헤에 나 : 봄은 가고 여름이 오니 녹음방초 시절이로구나 산천은 적적허고 물소리만 처량허구나 날과 같이 노던 처녀들은 종종 와서 인사를 허건만 길 잃은 심봉사 딸 생각이 간절히여 지팡막대 찾어 짚고 ... 1) 상단이게: 향단이에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