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유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제군 광활면 옥포리 화양1구의 논매는소리-산유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판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유판선 |
지역개관 | 40여 호 16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살고 있으며, 장은 김제장으로 다닌다. 일제 때 바다를 막아 이룬 김제평야 간척지 마을로 미질이 좋은 쌀이 생산된다. 유판선 씨에게서 논농사에 관련된 노래를 중심으로 총 12편의 민요를 채록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1일에 전라북도 김제군 광활면 옥포리 화양1구에서 채집한 산유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판선이 참여하였다. 김제군 만경면 대동리 고향에서 배운 노래이다. 창자에 의하면 고향 마을은 논매기를 한 해에 세 번 하는데, 초벌과 두벌은 호미로 매고, 세벌(만두레)은 손으로 맸다. 이 노래는 처서가 지난 뒤 만두레를 할 때나 가을철에 산에서 풀/퇴비를 뜯으면서 부른 것으로, 이 노래를 부르면 너무도 슬퍼서 동네 과부들이 남몰래 보따리를 싸기도 했다고 하며, 초목이 슬퍼서 떤다고 하여 처서가 지나야만 불렀다고 한다. 원래 혼자 하는소리이며 가을철 전에 하면 옛날엔 관가에서 잡아갔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
가사 | 어디로 갈꺼나 어디로 갈꺼나
갈 곳은 없는디이이히 어디로 갈꺼나 허어 허어 어어어 허허 어허허허 어디로 갈꺼나 어린 자식은 두르박으 밤 줏어담듯 허고 큰 놈은 밥 다라고 조르고 즉은 놈은 젖 다라고 조르고 세상 못 살것네 영감아 땅감아 날 다려가소 에헤에헤으 어허허 어허허 허어 작년 팔월 보름날 저녁이 보리쇵편 일곱 개만 먹으란게로 곱 집어서 열네 개 먹고 죽은 영감아 날 다려가소 날 다려가소오 오우오오 에헤에헤으 어허허 어허허 허어 못 살것네 못 살것네 나는 못 살것네 에헤으 어허허허 어허허 어어 세상 못 살것네 검었구나 검었구나 남산 밑이 청치매는 날과 같이 검구 검었네 에 헤에헤으 어허허 어허어허허 어허어 으어어 가네 가네 허더니만은 그리 쉽게 가고 이 고생 시키나 에헤에헤 어허허허 허망하고도 야속하네 에헤에헤 어허허허 어허 허허으어 어떤 사람 팔자 좋아 부귀영화 잘 사는데 이년으 팔자는 이리도 기박하여 영감 잃고 홀로 살어 에헤에헤 어허허 어허어 어찌를 살꺼나 에헤으 어허허 어허허으어 너는 어디루 갈꺼나 나는 어찌 혀 가면 가고 말면 말지 경상두 사람은 안 따러 갈라네 에 헤에헤으 어허허 어허허으어 어찌를 할꺼나 에 헤에헤으 어허허 어허허어 이팔 청춘 젊은 년이 낭군 그려 어이 사리 헤 헤에헤으 어허허허 어허허으어 어찌 허리 영감아 땡감아 어이 그리 쉽기 갔나 헤 헤에헤으 어허허허 어허허 어허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