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제군 청하면 월현리 석한의 논매는소리-산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하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하석 |
지역개관 | 마을의 지형이 달형국이어서 월현(月弦)이라 한다. 가구수는 44호 정도이고 200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전주 최씨 집성촌이다. 주로 벼농사를 많이 하며, 이 밖에 여름철에는 수박, 기타 잎담배도 재배한다. 장은 만경장으로 보러 가고, 큰 장은 김제읍로 간다. 이번 조사에서 논농사와 관련된 민요를 중심으로 총 20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6일에 전라북도 김제군 청하면 월현리 석한에서 채집한 산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하석이 참여하였다. 산야는 만두리 논맬 때 혼자나 혹은 둘이서 부른 노래이다. 그 무렵에 산에서 풀을 뜯으면서도 불렀다고 한다. 창자에 따라서는 벼베는소리를 산야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김제군, 익산군, 옥구군에서만 채록된 노래이고, 경상도 지게군 신세타령인 어산영(얼싸용, 어생이, 어사용)과 같은 계통으로 보고 있다. 옛날에는 입추나 처서 전에 이 노래를 부르면 산천초목이 떨며 운다고 해서 벼가 완전히 자라기 전에는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 입추나 처서 전에 혹은 모심기 전에 이 노래를 했다가는 원님에게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고 전한다. |
가사 | 응아헤헤 헤허이
허허허으허 헤헤헤 헤헤야 어디로 갈꺼나 영감아 영감아 영감아 작년 칠월으 논두렁 깎다 메뚜기한티 가심 채 죽은 영감아 하 응아에헤헤 에헤헤이 허허허 으어허허 에헤에야 어디로 갈꺼나 올 팔월으는 영감 오셔서 보리 쇵편 보리개떡이나 와서 많이 잡수소오 호 응아 헤헤헤 헤에 헤이 허 허허 으 어 어허허 어허에야 어디로 갈꺼나 쎙교독교는 금법이라네1) 원앙중창2) 내사 싫고 화살같이 곧은 질로 날 다려가소 호 응아 헤헤이 헤 허이 허 허허 으 어허허 에헤에야 어디로 갈꺼나 오라바니 오라바니 오라바니 오라바니 작년에는 오줌 쌍개로 시새 시새 새새 허더니 올 팔월에는 오줌 쌍개 왜철철 왜철철 허네3) 응아 헤헤헤이 헤에 헤이 허 허어 으 어허허 어허에야 어디로 갈꺼나 오라바니 오라바니 오라바니 오늘 저녁에는 무슨 공사가 났던거라우 노총각 장개가고 노큰애기 시집가라는 공사났더라 하 응아 헤헤헤 에 헤 헤이 허 허어 으 어허허 에헤에야 어디로 갈꺼나 오라바니 오라바니 올 농사 지어서는 나 좀 여워주고 오라바니 장개는 돈 모야 가시오 응아 헤헤헤이 헤 허이 허 허어 으 어허허 에헤에야 어디로 갈끄나 1) 쎙교독교는 금법이라네: 쌍교와 독교는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네. 쌍교독교(雙轎獨轎)는 말 두 필이 각각 앞,뒤채를 메고 가는 가마(쌍교)와 말 한 마리가 끄는 가마(독교). 2) 원앙중창: 원앙금침(鴛鴦衾寢). 원앙금침은 원앙새를 수놓은 이부자리와 베개. 3) 오줌소리가 달라졌다는 것은 여동생이 이제는 자기도 시집갈 만큼 신체적으로 숙성했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