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민오 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민오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는 동네 앞에 활처럼 휘어진 못이 있어서 궁지(弓池)라고 불렀다고 한다. 91년도에 30여 호가 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외지로 나가고 15호 정도가 남아 있다. 이 마을은 원래 윤씨들이 들어와 터를 잡았다고 하며, 현재도 윤씨들이 많이 살고 있다. 평야지대이면서도 외지고 작은 마을이지만 마을 사람들간에 결속이 잘 되는 마을이다. 주생업은 논농사. 장은 김제읍으로 다닌다. 논농사 관련 민요를 중심으로 총 10여 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8일에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민오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오뉴월에 모심을 때 부른 노래이다. 전북의 서부 평야지역의 전형적인 상사소리이다. |
가사 |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아나 농부야 말 들어 아나 농부야 말 들어 서 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치 남었네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네가 무슨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로다 어하 어하 어하 상사 뒤이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어 여어이 여허이 여루 상사뒤이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보소 농부들 말 듣소 어하 농부들 말 듣소 한 일 자로 늘어서서 입 구 자로만 심어가세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어 여어이 여허이 여루 상사뒤이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이 논배미를 어서 심고 장구배미로 건너가세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어 여어이 여허이 여루 상사뒤이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기도 꼽고 저기도 꼽고 건너배미로 건너가세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어 여어이 여허이 여루 사앙 사아 뒤이 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보소 농부들 말 들어 아나 농부야 말 들어 저 건너 갈매봉에 비 몰아 오니 어서 심고 집으로 가세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어 여어이 여허이 여루 사앙 사아 뒤이 여 여여이 여허이여루 상사뒤이허 여보소 농군님들! (예에!) 막걸리 먹고 쉬고 허세! (갠지개 개갱 개개개 개개개 갠지개 개갱 갠지개 갠지개 개 개 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