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20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김제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김제군)백산면 하서리 궁지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9 , 집터다지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전라북도 , 전북 , 김제시 , 1991 , 1995 , 집터다지는소리 , 윤민오 , 궁지마을 주민들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윤민오, 궁지마을 주민들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윤민오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는 동네 앞에 활처럼 휘어진 못이 있어서 궁지(弓池)라고 불렀다고 한다. 91년도에 30여 호가 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외지로 나가고 15호 정도가 남아 있다. 이 마을은 원래 윤씨들이 들어와 터를 잡았다고 하며, 현재도 윤씨들이 많이 살고 있다. 평야지대이면서도 외지고 작은 마을이지만 마을 사람들간에 결속이 잘 되는 마을이다. 주생업은 논농사. 장은 김제읍으로 다닌다. 논농사 관련 민요를 중심으로 총 10여 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8일에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민오 외 궁지마을 주민들이 참여하였다. 집 지을 때 기둥 세울 자리를 다지면서 부른 노래이다. “안 다구면 기둥이 가라앉으니까, 돌을 새내끼로 얽어맨 큰 달구를 여럿이 들었다 놓으면서” 불렀다. |
가사 | 어럴럴럴 상사두야
어럴럴럴 상사두야 높이 들었다 쾅쾅 놓세 어럴럴럴 상사두야 어럴 럴럴 상사두야 어럴럴럴 상사두야 상사부사는 동부사네 어럴럴럴 상사두야 높이 들었다 쾅쾅 놓세 어럴럴럴 상사두야 잘도 헌다 잘도나 허네 어럴럴럴 상사두야 일락서산에 해는 지고 어럴럴럴 상사두야 월출동정에 달 돋아온다 어럴럴럴 상사두야 높이 들었다 쾅쾅 놓세 어럴럴럴 상사두야 천징세월 인징수1) 요 어럴럴럴 상사두야 춘만건곤이 복만2) 이냐 어럴럴럴 상사두야 떴다 보아라 종조리새3) 는 어럴럴럴 상사두야 천 질 만 장 구만 장 떴다 어럴럴럴 상사두야 1) 천징세월 인징수: 천증세월 인증수(天增歲月 人增壽). 2) 춘만건곤이 복만: 춘만건곤 복만가(春滿乾坤 福滿家). 3) 종조리새: 종달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