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행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의 상여소리-오행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윤민오, 박진호 외 궁지마을 주민들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윤민오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는 동네 앞에 활처럼 휘어진 못이 있어서 궁지(弓池)라고 불렀다고 한다. 91년도에 30여 호가 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외지로 나가고 15호 정도가 남아 있다. 이 마을은 원래 윤씨들이 들어와 터를 잡았다고 하며, 현재도 윤씨들이 많이 살고 있다. 평야지대이면서도 외지고 작은 마을이지만 마을 사람들간에 결속이 잘 되는 마을이다. 주생업은 논농사. 장은 김제읍으로 다닌다. 논농사 관련 민요를 중심으로 총 10여 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8일에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에서 채집한 오행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윤민오, 박진호 외 궁지마을 주민들이 참여하였다. 같은 마을의 윤앵기씨에게 배워 불렀다고 한다. 상이 나면 지금도 하기는 하지만 주로 영구차를 부르기 때문에 지금은 예전같이 부르지 않는다. 김제군의 상여소리는 이처럼 오행소리가 일반적인데, 그 중에서도 이 마을의 것은 후렴을 두세 번 반복하는 독특한 형식을 띠고 있다. 청하면 월현리 석한마을의 제보에 따르면 오행소리는 전주 소리(전주에서 부르는 상여소리)인데 석한마을에서 1940년대 이전에 주로 불렀고, 그 이후는 신식소리인 어나리 넘차가 들어와서 주로 부른다고 한다. |
가사 | 아헤이허 허허허허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가세 가세 어서를 가세 우리 고향 어서를 가세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천징세월 인징수요 춘만건곤이 복만이로고나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문경 새재 박달나무 큰아기 손질에 다 녹아간다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떴다 봐라 종달새는 천 질 만 질 구만 장이나 떴다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잘도나 헌다 잘도나 헌다 우리 당군들 잘도나 헌다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못 가것다 못 가겄다 노자가 적어서 나는 못 가겄다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북망산천이 머다드니 문턱 밖으가 북만이로고나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어렵구나 어렵구나 여기 가기가 어렵구나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각장장판1) 다 버리고 북망산천이 웬말이냐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오오행 다 왔구나 다 왔구나 우리 고향 다 왔구나 에헤이 오호호호 오오행 오오행 금틀2) 놓아, 금틀 . 금틀 놓아, 금틀 ! 함께 : 쉬이 ! 1) 각장장판(角壯壯版): 아주 두꺼운 장판지[角壯]로 바른 장판. 2) 금틀: 상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