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고르는소리(쇠스랑질)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논고르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의 논고르는소리(쇠스랑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20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김제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김제군)만경면(구 만경읍) 대동리 소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9 , 논고르는소리 , 쇠스랑질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논고르는소리 , 전라북도 , 전북 , 김제시 , 1991 , 1995 , 논고르는소리(쇠스랑질) , 이부휘 외 소동마을 주민들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이부휘 외 소동마을 주민들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부휘 |
지역개관 | 마을 위쪽에 대동마을이 있고 대동마을보다 작다고 해서 소동(小東)이라고 한다. 가구수는 45호 정도, 200여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전주 이씨가 많다. 이곳 지형은 들과 산이 반반의 비율로 되어 있다. 벼농사가 주 소득원이기는 하지만 여름철에 수박이나 그 밖의 채소 등 밭작물도 재배한다. 장은 가까운 만경장으로 다니며, 큰 장은 김제로 간다. 논농사 관련 민요를 중심으로 총 25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8일에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하서리 궁지에서 채집한 논고르는소리(쇠스랑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부휘 외 소동마을 주민들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쇠스랑(“소시랑”)으로 논을 고르는 작업을 하면서 불렀다. 모를 심기 전에는 논을 골라야 하는데, 논의 넓이에 따라 2-3명 또는 7-8명이 횡대로 서서 앞으로 가면서 세 발 달린 “소시랑”으로 소가 뒤엎어 놓은 두덕(둔덕)을 없애고 무논을 고른다.(만경면 대동리 소동 출신 유판선 씨의 제보) |
가사 | 허허라 어허핸가
가노라 간다 내 돌아 간다 허허라 어허핸가 임을 따러 내 돌아 간다 허허라 어허핸가 봄이 왔으니 씨앗을 뿌리고 허허라 어허핸가 곱기 곱기 가꾸어 보세 허허라 어허핸가 말은 가자 네 굽을 치는디 허허라 어허핸가 임은 잡고 낙루만 허네 허허라 어허핸가 산천초목은 젊어나 가는디 허허라 어허핸가 우리 청춘 다 늙어 간다 허허라 어허핸가 이 해 저 해 다 보내고 허허라 어허핸가 건너 배미로 건너가세 허허라 어허핸가 논을 다 뀌밌으니 고만 허고 허허라 어허핸가 모를 모두 잘들 심세 허허라 어허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