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의 모심는소리-상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재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재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에는 총 50여 호 90여 명이 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방장산 북사면 아래에 위치한 마을로, 입암산과 방장산을 잇는 높은 능선으로 전남과 인접해 있다. 갈재[蘆嶺]라는 고개를 통해 전남과 통하는 중요한 길목이었으나, 지금은 열차와 고속도로가 통해 이 고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드물게 되었다. 각성바지 미을로 장은 정읍장으로 보러 다닌다. 이번 조사에서 논농사 관련 민요를 비롯, 총 14편 정도의 노래들이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20일에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에서 채집한 상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재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서부 평야지역의 전형적인 육자배기조 선후창 모심는소리이다. 판소리 춘향가에도 이 민요가 유입되어 있다. 흔히 긴 소리와 잘룬 소리의 분화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잘룬 소리까지 제대로 부르는 마을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이 마을 상사소리는 자진 상사소리까지 부를 줄 알고 선소리의 곡조가 산아지타령과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다. |
가사 | <상사소리>
여어 여어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여어 여허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아나 농부야 말들어 여봐라 농부야 내 말 듣소 저건네 갈미봉으 어둠침침 비 몰아 온다 우장 삿갓을 둘러를 쓰소 여어 여허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여보소 농부님들 여봐라 농부야 이내 말을 들어라 저건네 떠돌아 온다 점심 바구니 떠돌아 온다 여어 여어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여보소 농부님들 이내 말을 들어보소 아나 농부야 내 말 들어 청천 하늘은 잔별도 많고 요내 가슴은 수심도나 많데 여어 여어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여보소 농부님네 이내 말을 들어 보소 한 달 크고 적은 것도 사람 연광1) 을 재촉허네 여어 여어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아나 농부야 말 들어 여보소 농부님네 이내 말을 들어 보소 배가 고프면 정심밥을 줄 것이고 목이 마리면 술을 줌세 여어 여어 여허 여어루 상 사아 뒤이여 여보소 농부님네 이내 말을 들어보소 패랭이 꼭지여다 대화를 꽂고서 마후라기춤이나 너울너울 추어 보세 여어 여어 여허 여어루 상사뒤이여 <자진 상사소리> 여어 여어루 사하 뒤요 여어 여어루 사하 뒤요 잘도 허고 잘도나 허네 1) 연광(年光): 바뀌는 네 철의 경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