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재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유재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에는 총 50여 호 90여 명이 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방장산 북사면 아래에 위치한 마을로, 입암산과 방장산을 잇는 높은 능선으로 전남과 인접해 있다. 갈재[蘆嶺]라는 고개를 통해 전남과 통하는 중요한 길목이었으나, 지금은 열차와 고속도로가 통해 이 고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드물게 되었다. 각성바지 미을로 장은 정읍장으로 보러 다닌다. 이번 조사에서 논농사 관련 민요를 비롯, 총 14편 정도의 노래들이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20일에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재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정읍에서는 일반적으로 논매기를 네 번 했는데, 초벌은 호미질로 하고 두벌과 세벌은 손질로, 만두레는 풀뽑기로 했다.(사람에 따라서는 만두레를 빼먹기도 했다.) 만두레 앞의 논매기를 와가시 또는 아가시라고 부르고, 만두레와 아가시 사이에 간단하게 풀만 뽑는 정도로 매는 것은 공벌 맨다고 불렀다. 마을에 따라서는 와가시소리를 했다는 곳도 있다. 이 마을에서는 초벌은 호미로 매고 두벌, 세벌, 네벌은 손으로 맸는데, 네벌은 만두리라 불렀고, 이때는 걸어다니다시피 하면서 풀/피를 뽑아주고 풍물도 쳤다고 한다. 논매는소리는 세벌 맬 때와 만두리할 때 주로 많이 불렀고, 두벌도 일이 다 끝나갈 무렵에나 노래할 수 있었고, 초벌 호미질 때는 힘이 들어 노래를 못 했다고 한다. 빨리 맬 때도 뒷소리는 같았으며, 마무리할 때는 “위.” 하는소리가 있었는데 잊었다고 한다. 만두레 때 소타고 들어올 때는 굿을 치면서 “얼싸 절싸 기화자 좀도나 좋네” 라는 장원질소리를 불렀다고 한다. 들소리도 역시 선소리 사설은 산아지타령과 유사하다. |
가사 | 아리씨구나 하아하 하아하 모뒤이여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잘도 허네 잘도 허네 우리 농군이 참으로 잘 허네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가네 가네 나도 가네 노래 품 팔아 먹으로 나는 갈라네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잘 헌다 잘 헌다 우리 농군 잘 허네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힘차게 힘차게 소리를 좀 허소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문정 새재 물박달나무는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가네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이 배미를 미고서1) 저 배미를 미고 저 아랫배미로 내려를 가세 아리씨구나 아아아하 모뒤이여 1) 미고서: 매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