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도아리랑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의 진도아리랑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유재문 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유재문 외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에는 총 50여 호 90여 명이 벼농사를 주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다. 방장산 북사면 아래에 위치한 마을로, 입암산과 방장산을 잇는 높은 능선으로 전남과 인접해 있다. 갈재[蘆嶺]라는 고개를 통해 전남과 통하는 중요한 길목이었으나, 지금은 열차와 고속도로가 통해 이 고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드물게 되었다. 각성바지 미을로 장은 정읍장으로 보러 다닌다. 이번 조사에서 논농사 관련 민요를 비롯, 총 14편 정도의 노래들이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20일에 전라북도 정읍군 입암면 연월리 반월에서 채집한 진도아리랑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유재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진도아리랑은 육자배기조 창법의 대표적인 노래이다. 진도의 대금(大琴) 명인 고 박종기 씨가 산아지타령을 다듬은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전남에서 보통은 진도아리랑보다는 아리랑타령이라는 명칭이 흔하다. 전북에서는 정읍군에서만 진도아리랑을 채록할 수 있었는데, 이는 갈재를 넘어 전남 장성군과 접해 있어서 전남의 문화와 쉽게 접할 수 있었던 때문이 아닌가 한다. 사설에서 정거장, 국작로, 일본놈, 구리동전 등의 단어가 나오는 걸로 봐서 이 노래가 일제 때 창작 또는 유행되거나, 아니면 그 무렵에 이 마을로 전파된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해볼 수 있다. 여럿이 어울려 놀 때 많이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가 :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로고나 간다 못 간다 얼매나 울었냐 정그정 마당이 한강수가 되얐네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끄긍끙 아라리로고나 나 : 아라린가 지랄인가 용천1) 인가 얼매나 좋으며는 저기 저 지랄인가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가 : 산 좋고 물 존 디 일본놈 살고 논 좋고 밭 좋은 디 국작로2) 가 난다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끄 긍 끙 아라리로고나 나 : 저놈우 계집아 눈매를 보소 속눈만 감고서 겉눈만 떴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가 : 니가 잘나 내가 잘나 그 뉘가 잘났냐 천하 은전 백전 구리 동전이 제일 잘나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끄 긍 끙 아라리로고나 나 : 문경 새재 박달나무 홍두까 방망이로 다 나가 난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가 : 남북촌 한량이 전동대3) 를 매고 사대문 사장으 활 쏘러 가네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끄 긍 끙 아라리로고나 다 : 물레야 물레야 비빙빙 돌아라 어리렁 어리렁 잘도 돈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가 : 무정 세월은 다 돌아가고 황국 단풍이 또 돌아오네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끄 긍 끙 아라리로고나 나 : 세월아 봄철아 오고 가지를 말어라 알뜰헌 청춘이 다 늙어 간다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가 : 산천 초목은 푸리야 좋고 우리댁 서방님은 젊어야만 좋네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끄 긍 끙 아라리로고나 나 : 청천 하늘에 잔별도 많고 우리네 살림살이 일두나 많엤네 아리 아리랑 서리 서리랑 아라리가 났네에 에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1) 용천: 변덕스럽거나 잡스러운 언행. 용천하다는 매우 좋지 않다, 꺼림하여 마음 켕기는 구석이 있다는 뜻. 2) 국작로(國作路): 나라에서 만든 도로. 3) 전동대: 전통대(箭筒帶). 전통은 화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