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정읍군 북면 복흥리 탑성의 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문서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문서운 |
지역개관 | 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복흥리 탑성에는 총 45호 160여 명의 주민들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한우사육·잎담배·고추 재배 등을 하며 살고 있다. 성씨로는 광산 김씨가 전체 인구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장은 정읍으로 보러 다닌다. 이 마을에는 옛날 큰 절이 있어서 그 터가 최근 발굴되었고 탑이 있어서 탑선마을로 불리다 “탑성”이란 명칭을 얻었다. 마을에는 열두 당산이 있고 “남근석”이 유명하다. 주로 여성들의 민요를 중심으로 약 80여 곡 정도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2월 21일에 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복흥리 탑성에서 채집한 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문서운이 참여하였다. 이[蝨]에 대한 수수께끼 노래이다. 가창자는 수수께기를 줌치새끼라 한다. |
가사 | 주뎅이는 빼족히도 모든 청으1) 말 한 마두 못 히보고
등거리는 넙적해도 뒷동산에 성 쌓는디 성 한 짐을 못 져보고 발이 발이 육 발이라도 육십 리 한 번을 못 가보고 먹통 한 짐은 짊어졌어도 펜지 한 장을 못 써보네 1) 모든 청으: 모든 청(廳)에, 모든 기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