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배치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의 배치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종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종순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에는 총 50여 호 20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고기잡이(멸치·새우 등)와 김양식을 주업으로 하여 사는 섬마을이다. 장은 정기여객선을 타고 바다를 건너 곰소항, 줄포항으로 많이 보러 다녔으나, 요즈음은 뱃길이 부안읍 쪽에 가까운 격포항으로 나게 되어 부안읍으로 장을 보러 간다. 어업노동요를 중심으로 총 10여 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3일에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에서 채집한 배치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종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뱃고사를 지내고 고기를 잡으러 나갈 때 풍어를 기원하면서, 고기를 많이 잡고 돌아올 때 선상에서, 그리고 만선해서 귀향하여 선주의 집에서 선주와 어부들이 한데 어울려 부르며 춤추며 즐기는 노래이다. 나갈 때는 배치기소리를 하지만 들어올 때는 배치기소리를 하지 않는다는 마을도 있다. 항해 중에는소리를 하지 않는다. 배치기소리는 전형적인 서도소리 곡조이며, 황해도에서 경기도와 충남의 바닷가를 따라 전남·전북의 해안까지 서해안에 퍼져 있다. 대리마을의 띠뱃놀이의 경우에는 띠배에 실었던 음식을 섞어 놓고 바가지로 퍼서 바다에 넣으면서(중천밥) 다 퍼 넣을 때까지 가래질 소리를 한다. 용왕굿을 마친 후 띠배를 띄워보내기 전에는 선창굿을 하며 끼리끼리 어울려 배치기소리와 술비소리, 가래질소리, 에용소리를 하고 춤을 추고 논다. 띠배를 띄워보내는 큰 어선(母船)이 동네 앞바다를 벗어나 큰바다에 나가서도 술을 마시고 배치기소리와 술비소리, 가래질소리, 에용소리를 소리높여 부르고 춤까지 춘다. 꽹과리·장고·징을 배에 싣고서 풍물을 치면서 부르는데 장고는 개가죽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부정탄다고 싣지 않았다고 한다.(원래는 모선에서 풍물만 쳤지 소리는 안 했다는 제보도 있다.) 한참 가다가 적당한 곳에 이르러서 모선이 띠배를 끌고온 줄을 끊고 띠배를 멀리 보낸다. 따라서 술비소리, 배치기소리, 가래질소리는 띠배굿의 과정에서 불리는 의식요(儀式謠)로 볼 수도 있지만, 원래는 뱃일을 하는 과정에서 불리던 것이므로 이 책에서는 노동요로 취급하고, 에용소리만 의식요로 다룬다. 노래의 첫머리는 호령조로 부르고 이어서 3분박 4박자로 부른다. |
가사 | 닻 캐라
예에이 돛 달어라 예에이 노 저라 예에이 돈 벌러 가자 돈 벌러 가잔다 연평 바다로 돈 벌러 가잔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바람이 불었네 바람이 불어 연평바다에 갈바람 불었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오동추야 달밝은 밤에 안암팍 이물이 두둥실 떴단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배임재네 마누라 술동우 이고 발판머리에 응뎅이춤 춘단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칠산바다는 잔 조기요 연평바다는 큰 조기 난단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칠산바다에 들어온 조기 우리 배 사공님 애태운단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껄껄한 박대1) 는 코코에 걸리고 노란 조기는 대냉기2) 한단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칠산바다에 들오는 조기 우리 배 마장3) 에 다 잡어 실었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우리 배 사공 신수 좋아 오만칠천 냥 벌어다 놓고 색조구밭4) 에서 흥청거린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오동추야 만사춘5) 하니 가지가지가 봄빛이란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이물대 꼬작6) 에 봉기7) 를 달고 허릿대 꼬작에 장어발8) 달렸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앞산은 가차워진데 뒷산은 멀어나지니 이제 어찌를 할 바를 모른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노다 가자 노다나 가자 우리 술 먹고 노다나 가잔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오늘 밤에는 연평이란데 내일 바대는 황해도란다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에에헤 에헤야 1) 박대: 바다 물고기의 일종. 2) 대냉기: 그물을 당겨 조기를 미처 따낼 시간이 없어, 조기를 그물채 그냥 배에다 싣는 것. 안강망에는 이 대냉기 소리가 없고, 유자망에서만 있다. 3) 마장: 망자(?). 4) 색조구밭: 색주가(色酒家). 여자가 있는 술집. 5) 오동추야 만사춘: 옥동도화만사춘(玉洞桃花滿四春). 6) 이물대 꼬작: 배의 앞에 세운 돛대(이물대)의 끝. 7) 봉기(奉旗): 만선을 했을 때 돛대 위에 꽂는 기. 음력 정초에 선주의 집이나 배에 달기도 한다. 바탕을 여러 가지 색으로 물들인 대여섯 발의 길이로 된 것으로, 긴 간대(봉죽) 위에 단다. 명절 때도 달지만 만선을 해서 돌아올 때는 5색기 또는 3색기에 배이름을 쓰고, 그 외 “진수축대어(進水祝大漁)”나 “대풍어(大豊漁)”라는 글귀를 쓰며 삼치나 돔을 그리기도 한다. 위도에서는 뱃기라고도 부르는데, 정월이 되면 선주의 집에 봉기와 장화를 꽂고 풍어를 기원한다. 봉기는 마치 어사화처럼 생긴 것으로 “2미터가 넘는 대나무에 하얀 백지로 꽃을 만들어 붙인 것”이고, 장화는 “긴 장대에 4, 5척 길이의 베를 물들여서 매단 기”라고 한다. 원당굿을 할 때 오색 뱃기(五幅旗)를 당집으로 가지고 가는데, 원당굿 내용 중의 하나인 깃굿을 할 때 무당이 내림받은 서낭의 이름이 적힌 종이쪽(깃손)을 선주가 받아서 이 뱃기의 꼭대기에 묶는다. 이를 깃손받기라고 한다. 8) 장어발: 장화발. 장화폭. 장화는 만선이 되었을 때 허릿대 꼬작에 매달고 들어오는 깃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