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술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의 그물당기는소리-술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종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종순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에는 총 50여 호 20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고기잡이(멸치·새우 등)와 김양식을 주업으로 하여 사는 섬마을이다. 장은 정기여객선을 타고 바다를 건너 곰소항, 줄포항으로 많이 보러 다녔으나, 요즈음은 뱃길이 부안읍 쪽에 가까운 격포항으로 나게 되어 부안읍으로 장을 보러 간다. 어업노동요를 중심으로 총 10여 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3일에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에서 채집한 술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종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그물을 잡아당겨 배에 실을 때나 고기를 가래로 퍼 올릴 때 불렀다 한다. 대리마을에서는 그물을 실을 때도 굿을 치면서 했다고 하고, 그물을 아주 빠르게 당길 때에는 어야 디야 소리를 했다고 한다. 그물을 당기는소리도 그물이나 배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술비소리는 닻배 또는 안강망 중선배로 잡을 때 불렀던 소리라고 한다. 그 밖에 노젓는소리는 “어이기야 어기야 디야”, 그물 당길 때는 “어야 디야”, 가래질로 고기를 퍼 담을 때는 “어야 받어라 바앋어라”로 불렀다는 제보도 있었다. |
가사 |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닻을 들고 어화 술비야 돛을 달고서 어화 술비야 노를 저으며 어화 술비야 칠산바다로 어화 술비야 돈벌러 가세 어화 술비야 다 왔구나 어화 술비야 다 왔다네 어화 술비야 칠산바다에 어화 술비야 다 왔다네 어화 술비야 닻을 내리고 어화 술비야 노를 내리고 어화 술비야 돛 올리고 어화 술비야 그물을 넣어라 어화 술비야 어 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당거나 보세 어화 술비야 당거나 보세 어화 술비야 그물을 당겨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술비로다 어화 술비야 걸렸구나 어화 술비야 걸렸구나 어화 술비야 오갈피 상나무1) 어화 술비야 연 걸려듯이 어화 술비야 그물에 걸렸네 어화 술비야 호박 넝쿨에 어화 술비야 수박 열리듯이 어화 술비야 주렁 주렁 어화 술비야 열렸구나 어화 술비야 코코에 걸렸다 어화 술비야 이놈으 고기야 어화 술비야 어디를 가다가 어화 술비야 우리 배 망자2) 에 어화 술비야 다 걸렸느냐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너는 죽고 어화 술비야 우리는 사잔다 어화 술비야 껄껄헌 박대야 어화 술비야 은빛 돋는 어화 술비야 이내 갈치야 어화 술비야 펄펄 뛰는 어화 술비야 삼치 떼들아 어화 술비야 우리 배 망자에 어화 술비야 걸렸구나 어화 술비야 호안 적선님 어화 술비야 복을 빌어서 어화 술비야 옥허 명당을 어화 술비야 잡었단다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들물에 한 배 어화 술비야 썰물에 한 배 어화 술비야 만선 만선 어화 술비야 줏어를 실잔다 어화 술비야 술비로다 어화 술비야 가래질로 어화 술비야 날을 새고 어화 술비야 바재질로 어화 술비야 해를 지고 어화 술비야 조기곱3) 으로 어화 술비야 갑옷을 쓰고서 어화 술비야 조기 비늘로 어화 술비야 갑옷을 입고 어화 술비야 오늘 밤에 어화 술비야 잡어를 실세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술비로다 어화 술비야 도장원4) 했구나 어화 술비야 도장원 했다네 어화 술비야 칠산바다에 어화 술비야 도장원 했구나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칠산 바다 어화 술비야 열곡소리5) 어화 술비야 젊으네 어부들 어화 술비야 다 녹는다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돛을 달고 어화 술비야 노를 저며 어화 술비야 고물에다는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어화 술비야 봉죽6) 을 달고 어화 술비야 허릿대 꼬작에 어화 술비야 도폭기7) 달고서 어화 술비야 우리네 고향에 어화 술비야 어서 가세 어화 술비야 앞산은 가차지고 어화 술비야 뒷산은 멀어진다 어화 술비야 다 왔구나아 어화 술비야 다 왔구나 어화 술비야 우리네 고향에 어화 술비야 다 왔단다 어화 술비야 1) 오갈피 상나무: 오갈피 향나무. 2) 망자(網子): 그물. 3) 조기곱: 조기 비늘 표면에 끼어 있는 끈적끈적한 점액 물질. 4) 도장원(都壯元): 모든 가운데서 으뜸. 5) 열곡소리: 연곡(宴曲)소리 (?). 6) 봉죽(奉竹): 이물에 실은 고기의 양을 재는 막대. 고기잡이에서 만선(滿船)하여 돌아올 때 봉죽 위에 봉기를 단다. 한지에 오색물감을 들여서 부채 모양으로 만들어서 삼단으로 봉죽을 만들어 지네발이라는 종이를 두 줄로 늘어뜨리고 그 끄트머리에 꽃(연화)을 세 송이씩 단다. 7) 도폭기: 베를 자르지 않고 통째로 늘어뜨린 깃발(?). 보통 만선(滿船)을 하게 되면 일단 가까운 포구에 들어가 고기를 팔고, 봉죽(奉竹)과 도폭기(장어발, 장화발)을 배에 드높이 달고 마을로 돌아오게 된다. 마을에서 기다리고 있던 주민들은 멀리서 돌아오는 배들의 이 깃발을 보고 기뻐서 춤추고 노래하며 맞이굿을 벌이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