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5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35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5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20830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5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5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35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2년 08월 30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간한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5집(第35輯)이다. 본 책은 총 343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논문 강등학, 아리랑의 부류별 국면과 문화형질의 전승맥락 문봉석, 노젓는소리의 지역별 차이와 의미:음구조를 중심으로 배인교, 북한 고등중학교 민요 교육의 음악적 고찰 서영숙, 서울ㆍ경기 지역 서사민요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특질 서정매, 밀양 아리랑의 번용과 전승에 관한 연구 손인애, 황해도 통속민요 <배꽃타령>에 대한 사적 고찰:사당패 <배꽃타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영식, 홍천군 산간지역 유희요의 세대별 존재 양상:다리뽑기하는소리, 고무줄하는소리, 말꼬리잇는소리를 중심으로 이현수, 정선장례요의 전승현장 연구:사설과 선율을 중심으로 조순현, 충북 <논매는소리>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충북의 논맴소리』음반을 중심으로 최자운, 무형문화재 지정 민요보존회 활동을 통한 마을 내 민요 전승 가능성:마을 만들기사업 진행 마을 소재 무형문화재 지정 민요보존회를 중심으로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