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줄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의 줄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상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상원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에는 총 50여 호 20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고기잡이(멸치·새우 등)와 김양식을 주업으로 하여 사는 섬마을이다. 장은 정기여객선을 타고 바다를 건너 곰소항, 줄포항으로 많이 보러 다녔으나, 요즈음은 뱃길이 부안읍 쪽에 가까운 격포항으로 나게 되어 부안읍으로 장을 보러 간다. 어업노동요를 중심으로 총 10여 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0년 11월 23일에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대리에서 채집한 줄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상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배에 쓰는 줄이나 줄다리기 할 때 쓰는 줄을 꼴 때 부르는소리이다. 옛날에는 줄을 꼴 때 마을사람들이 나와서 협조해 달라고 풍물을 치면서 노래를 했다고 한다. |
가사 | 어여러 디야
어여라 디여 춘하추동 사시절은 어여라 디여 소리없이 지나가고 어여라 디여 때는 좋다 봄이 왔네 어여라 디여 칠산바다 추세로다1) 어여라 디여 저기 섰는 선주임네 어여라 디여 반사2) 같은 맵시 보소 어여라 디여 김제 만경 쥐꼬리 당줄 어여라 디여 벨쥐 귀믹에 대모관자3) 어여라 디여 산호동곳 호박풍잠 어여라 디여 통영사인4) 밀화갓끈5) 어여라 디여 갑사쾌자6) 구승사대7) 어여라 디여 맵시있게 마려8) 입고 어여라 디여 연말자9) 줄편자10) 으 어여라 디여 주사 당사11) 서초12) 달고 어여라 디여 아해 불러 대13) 들리고 어여라 디여 주막집을 찾어 가니 어여라 디여 이 전 저 전 가관일레 어여라 디여 일야지간14) 주체 세움15) 어여라 디여 고성수성16) 하는소리 어여라 디여 대동산17) 에다 돈을 싣고 어여라 디여 평안도로 상고18) 가세 어여라 디여 (빠르게 ) 어여라 디여 어여라 디여 앞거리 뒷거리 어여라 디여 앞거리 뒷거리 어여라 디여 탈탈 비어라19) 자새수20) 야 어여라 디여 빨리 가자 도지기수21) 어여라 디여 앞 술래22) 는 가차지고 어여라 디여 뒷 술레는 멀어진다 어여라 디여 어여라 디야 어여라 디여 지글자글 꼬아나 보세 어여라 디여 어여라 디야 어여라 디여 어여러 디여 어여라 디여 1) 추세로다: (고기잡이를 할) 시기가 왔도다. 2) 반사: 관사(官紗).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일종. 3) 대모(玳瑁)관자(貫子): 대모로 만든 관자. 대모는 거북이갑. 관자는 망건에 달아 당줄을 꿰는 고리. 4) 통영사인: 통영에서 나는 사립. 사립(絲笠)은 명주실로 싸개를 하여 만든 갓. 5) 밀화(蜜花)갓끈: 밀화로 된 구슬로 만든 갓끈. 밀화는 밀(蜜)과 비슷한 빛깔의 누른 호박(琥珀). 6) 갑사쾌자: 갑사(甲紗)로 된 쾌자(快子). 7) 구승사대(九丞紗帶): 질 좋은 비단띠. 8) 마려: 차려, 마련해. 9) 연말자: 면말자(綿襪子). 솜을 넣은 버선. 10) 줄편자: 줄변자. 신의 도리 밑에 자주빛 비단을 댄 마른신의 일종. 11) 주사 당사: 비단실의 이름들. 12) 서초: 선초(扇貂). 부채 고리에 늘어뜨린 장식품. 선추(扇錘). 13) 대: 담배대. 14) 일야지간(日夜之間). 15) 주체 세움: 자신의 체면을 세움. 16) 고성수성: 왁자지껄 떠드는소리(?). 17) 대동산: 대동선(大同船). 대동미(大同米)를 실어 보내던 관청의 큰 배. 18) 상고(商賈): 장사. 19) 탈탈 비어라: 단단히 꼬아라. 20) 자새수: 줄꼬는 자새를 돌리는 사람. 21) 도지기수: 줄 세 가닥을 꼬아들어가는 것을 도지기라 하고, 이 일을 맡은 사람을 도지기수라 함. 22) 앞 술레: 앞쪽에 있는 술레. 술레는 줄을 꼬는 데 쓰는 기구로, 꼬는 줄의 양쪽 끝에 위치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