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닭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부안군 보안면 상림리 가분의 닭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오금옥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오금옥 |
지역개관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상림리 가분에는 총 26호 60여 명 정도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살고 있다. 장은 줄포장을 보고, 큰 장은 정읍장을 본다. 부안 김씨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동족마을이다. 이 마을에서는 논농사와 관련된 민요를 중심으로 총 20여 편의 노래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2일에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상림리 가분에서 채집한 닭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오금옥이 참여하였다. 닭의 입장에서 노래하면서 거기에 민중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실어 두고 있다. 소타령, 꿩타령, 물메기타령 등 대체로 농어촌에서 늘 쉽게 접할 수 있는 동물들을 이런 식으로 노래하는 경우가 많고, 그런 경우에는 가사 위주의 노래이기 때문에 대개 확실하게 규정된 곡조는 없다. 할머니에게서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숭에비단 접저구리
유리비단 짓을 달아 옥돌비단1) 고름 달아 이 달에는 알을 낳고 새 달에는 새끼 까고 줄줄이 주는 모시2) 낱낱이 줏어 먹어 넘서3) 밭에 들어가면 원수라고 척을 지어 니기 집이 손님 오믄 내 자식이 손님 대접 니기 자식 병이 들면 내 자식이 약 아닌가 1) 숭에비단-옥돌비단: 모두 비단의 이름인듯. 닭의 겉모습을 형용한 말들. 2) 모시: 모이. 3) 넘서: 남새. 나무새. 채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