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 학전의 논매는소리-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창훈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창훈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 학전에는 총 47호 13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농사, 고추농사를 주로 하며 살아가고 있다. 전에는 해리장·무장장을 많이 보았으며, 지금은 교통이 좋아져서 고창장을 많이 본다. 지금도 정초에는 마당밟이 풍물굿을 하며, 1년에 한 번씩 정월 대보름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논농사와 관련된 민요 등, 총 20여 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4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 학전에서 채집한 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창훈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처음 논매기 소리를 시작해서 천천히 부르는소리이다. 길게 빼서 부른다고 진 소리라고도 하고 세 마디를 부른다고 세마디 소리라고도 하는데, 고창의 다른 마을에서도 똑같은 사설을 논매는소리 초입에 부르면서 문열가 3장, 진서 3장 등의 이름으로 부른다. 이 마을에서는 모심는소리는 상사소리/자진 상사소리로 불렀고, 논은 세 벌 또는 네 벌을 맸는데 초벌 호미질은 힘이 들어서 노래가 없고, 두벌과 세벌(만두리)을 손으로 매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세사는 금삼척1) 이요호 생애는 주일배2) 라아
어얼 룰룰룰룰룰루 서정에 강산월3) 이요 동각에 설중매4) 라 어얼 룰룰룰룰루 동각에 설쭝매 다리고 매일 장치5) 놀고 놀세 어얼 룰룰룰룰루 룰룰룰룰룰 에함 아아 아 허어허어어 음허어허 어허허 어 에에 1) 세사금삼척(世事琴三尺). 세상사는 거문고 하나와 같다. 2) 생애는 주일배: 생애주일배(生涯酒一盃). 삶은 술 한잔이다. 3) 서정에 강산월: 서정강상월(西亭江上月). 4) 동각에 설중매: 동각설중매(東閣雪中梅). 5) 매일 장치: 매일(每日) 장취(長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