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마무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 학전의 논매는소리(마무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314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고창군 |
생산지역 상세 | 아산면 학전리 학전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1 , 논매는소리 , 마무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전라북도 , 전북 , 고창군 , 1991 , 1995 , 논매는소리(마무리) , 조창훈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조창훈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창훈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 학전에는 총 47호 13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농사, 고추농사를 주로 하며 살아가고 있다. 전에는 해리장·무장장을 많이 보았으며, 지금은 교통이 좋아져서 고창장을 많이 본다. 지금도 정초에는 마당밟이 풍물굿을 하며, 1년에 한 번씩 정월 대보름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논농사와 관련된 민요 등, 총 20여 편 정도의 민요를 채록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4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학전리 학전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마무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창훈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매기를 좀 더 빨리 할 때 부르는소리이다. 일반적으로 고창·부안·정읍에서 “아롱 저롱”이나 “엘싸 젤싸”는 논을 다 매고 소를 타고 들어올 때 풍물을 치면서 부르는 장원질소리, 또는 논맬 때 부르는 논매는소리로 마을에 따라 다르게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짤룬 소리>
에헬싸아 저헐싸아 에헬싸하 저헐싸하 오날도 해 심심한데 헤 노래나 한 장 불러를 볼까 에헬싸하 저헐싸하 놀로를 가세 놀로를 가세 월선이 집으로 놀로를 가세 에헬싸하 저헐싸하 녹음방초는 승화시1) 헌데 해는 어이 더디를 진가 에헬싸하 저헐싸하 가면은 가고 말면은 말지 경상도로만 시집을 갈까 에헬싸하 저헐싸하 나주 영산포 상추씻는 저 처녀덜아 겉잎이글랑 그대가 먹고 속잎이글랑 나를 다오 에헬싸하 저헐싸하 에헬 싸아아하 저헐 싸아아 에헬싸하 저헐싸하 <몰아가는소리> 우이야 어우이 우이야 어우이 양 쪽 베루는 당겨를 매소 우이야 어우이 다 되야가네 다 되야가네 우이야 어우이 너 마지기 논배미가 다 되야가네 우이야 어우이 1) 녹음방초승화시(綠陰芳草勝花時): 나무와 풀과 꽃이 한창일 때, 여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