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투전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공음면 선동리 선산의 각설이타령-투전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채현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채현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선동리 선산에는 총 56호 28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이 벼농사와 밭농사(채소·수박·고추 등)를 하며 살아가고 있다. 밭과 논의 비율이 거의 비슷한 마을. 장은 무장장으로 가고 큰 장은 영광이나 고창으로 간다. 논농사 관련 민요를 비롯, 총 8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4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선동리 선산에서 채집한 투전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채현이 참여하였다. 각설이타령은 각설이패가 부르는 노래인데 가사 속에 시대상황에 맞게 사설을 고쳐 부르는게 각설이타령의 맛이기 때문에 일제때는 “일본놈”, “이등박문” “삼천만 우리 동포” 등의 소재가 등장하고, 근래에 나온 각설이타령은 “일선에 가신 우리 낭군”, “이등병” 등의 소재가 쓰여 동족간의 전쟁에 얽힌 사회상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애초에 각설이타령의 시발은 전통적인 노름인 투전의 숫자를 가지고 노래를 짓는 “투전풀이”였다는 주장도 있다. |
가사 | 우리 부모 나를 낳아 고이 곱게 길렸네
우리 부모 나를 낳아 고이 곱게 길렸네 임간초당 집 지어 독서당1) 을 앉혔네 물려줄 것 전히 없어 투전 함농을 물렸네2) 투전질수 전질수 투전 글자가 나온다 한 일 자 들고 봐 일월 성성 해 성성 밤중 새별이 완연했네 두 이 자 들고 봐 이방 호접이 춤을 추었네 스이 삼 자 들고 봐 삼월이 신령 도신령 외나무 다리 건너가 수인사 허기 좋았네 넉 사 자 들고 봐 사월 남풍 대뫼각3) 큰 대문 달았다 큰 솜씨 작은 대문 달았다 작은 솜씨 다섯 오 자 들고 봐 오만천장 관운장 적토마를 비껴 타고 일월선상 찾어간다 여설 육 자 들고 봐 육 리 안에 김안석 칠십 리만 바래본다 일곱 칠 자 들고 봐라 칠금칠금4) 제갈량 자식 다리고 구경헌다 야답 팔 자 들고 봐라 팔자 좋은 강태공 곧은 낙수 물에 넣고 시대 차기 기다른다 아홉 구 자 들고 봐 구엽산중 늙은 중 아홉 상좌 거나리고 염불허기 심을 씬다 장 자 한 자 들고 봐라 장얼 장수 운전애비 대국 사신 들어갈 저 일세로 항복 받고 조선으로 나올 적으 열두 대문을 여다른다 어허 품파 잘 헌다 1) 독서당(獨書堂): 집안애 전용으로(獨) 차린 서당. 2) 물렸네: 물려 주었네. 3) 대뫼각: 대묘각(大廟閣). 4) 칠금칠금: 칠종칠금(七縱七擒). 제갈량이 남만의 장수를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다시 잡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