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농사장원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신림면 도림리 구산의 농사장원례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봉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봉환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도림리 구산에는 총 40호 182명의 주민들이 벼·수박·담배·땅콩 등을 재배하며 산다. 장은 정읍이 가까워 정읍장으로 가며, 성씨는 전주 이씨, 함평 이씨 등이 많은 편이다. 논농사와 관련된 민요를 비롯하여 총 20여 편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5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도림리 구산에서 채집한 농사장원례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봉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논매는 일을 마치고 수머슴을 소에 태우고 돌아올 때 불렀다 하며, 등짐소리나 줄다리기 하는 줄을 메고 다니면서도 불렀다고 한다. 이 마을에서는 논매기를 세 벌 했으며, 초벌 호미질 때는 문녀가 3장을, 두벌과 세벌(만두레)은 손으로 매면서 엘싸 절싸를 불렀다고 한다. 창자의 말로는 “문녀가 3장을 못 헌다치면 품앗이를 안 해줬다”고 한다. |
가사 | 아아 아아아 두혀 두혀
아아아 아아아 두여허 두혀어 달이 떴네 달이 떴네 아아아 아아아 두여허 두혀어 월출동령으 달이 떴네 아아아 아아아 두여허 두혀어 가세 가세 어서 가세 아아아 아아아 두여허 두혀어 늦어 간다 늦어를 간다 아아아 아아아 두여허 두혀어 닭 잡기가 늦어를 간다 아아아 아아아 두여허 두혀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