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니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의 논매는소리-무니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양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양진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은 총 23호 80여 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사는 마을. 장은 고창장을 보며, 성씨는 정씨, 최씨, 이씨 순이다. 이 마을에서는 논농사 관련 민요와 부녀요 등 총 35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에서 채집한 무니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양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의 모심는소리는 일반적인 상사소리이다. 논매기는 세 벌을 맸으며, 초벌은 호미질로 했는데 힘이 들어서 노래를 안 부르고, 두벌과 세벌은 손으로 매면서 노래를 불렀는데 노래는 어느 때나 다 같은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여기에 실린 무니가는 오전에 논매기 소리를 처음 시작할 때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첫소리라고도 부르고 한문귀절이 많아서인지 진서(眞書)소리라고도 한다. 무니가라는 명칭은 고창군의 논매는소리의 명칭으로 곧잘 쓰이고 있으며, 임실군·순창군 민요의 문열가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의 문을 연다, 일을 시작한다는 뜻의 명칭인 듯하다. |
가사 | 세사는 금삼척1) 이요
어얼 룰룰룰룰룰 생애는 주일배2) 라 어얼 룰룰룰룰룰 서정은 강상월3) 이요 어얼 룰룰룰룰룰 동각은 설중매4) 라 어얼 룰룰룰룰룰 설중매를 잡어 타고 오뉴월 영천에 히룽을 허는구나그려 어얼 룰룰룰룰룰 룰룰룰룰룰 이리 야아 하 아하 하 으응허어 어허 뒤이허 어헤 동남 으으으 동남풍에 묵우유마 상통천문 하달지5) 라 (잠시 쉬고 ) 천문으 제갈공명 난세 관운장이라 아리씨고나아 하아 하 아 아 하 으응허 허음 뒤이허어 에 통일 천하 으으으 진시황은 아방궁을 사랑 삼고 동남동녀 오백 명을 삼신산에 불사약을 구하라고 보냈구나그려 아 그렇지요 (잠시 쉬고 ) 불사약을 구하라고 보낸 후에 아리씨고나아하 하 아 하 으응허어 허음 뒤이허어 에 불사약을 보낸 후으 소식조차 돈절하고 사국평대에 저문 날에 여산악초6) 뿐이로다 아 그렇지요 여산악초뿐이로구나 아리씨고나 아하 아 하 아 하 음허 어허음 이허 어에 1) 세사(世事)는 금삼척(琴三尺)이요. 2) 생애(生涯)는 주일배(酒一盃)라. 3) 서정(西亭)은 강상월(江上月)이요. 4) 동각(東閣)은 설중매(雪中梅). 5) 상통천문 하달지(上通天文 下達地). 6) 여산악초: 여산향초(驪山香草)(?) 여산(驪山)은 중국 섬서성 서안부에 있는 산으로 온천이 유명한데, 진시황이 여기서 창(瘡)을 고쳤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