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도지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의 논매는소리-메도지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양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양진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은 총 23호 80여 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사는 마을. 장은 고창장을 보며, 성씨는 정씨, 최씨, 이씨 순이다. 이 마을에서는 논농사 관련 민요와 부녀요 등 총 35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에서 채집한 메도지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양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무니가 다음에 부르며, 주로 오후에 “거운 일이 다 되어갈 때” 많이 부르는소리이다. |
가사 | 에헬싸 하하하 저얼싸하 나허언개로오다
에헬싸 하하 저얼싸아 나허언개로오다 유상앵비는 편편금1) 이요 화관접무는 분분설2) 이로다 에헬싸 하하 저얼싸아 나허언개로오다 동남대풍3) 목우유마 상투견문 하달지로구나그려 에헬싸 하하 저얼싸아 나허언개로오다 백이숙제 백이숙제 충렬렴기4) 로도 삼십밲이는 더 못 살았다네그려 에헬싸 하하 저얼싸아 나허언개로오다 흰 백자 흰 백자 붉을 홍자 송이송이 꽃이 피고 천연 단풍은 천고물 단청이로구나 에헬싸 하하 저얼싸아 나허언개로오다 1) 유상앵비(柳上鶯飛)는 편편금(翩翩錦). 2) 화관접무(花冠蝶舞)는 분분설(紛紛雪) (?). 3) 동남대풍(東南待風): 제갈량이 남병산에 단을 만들고 동남풍이 불기를 기다린 일. 4) 충렬렴기: 충렬염치(忠烈廉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