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두름박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의 논매는소리-두름박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양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양진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은 총 23호 80여 명의 주민이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사는 마을. 장은 고창장을 보며, 성씨는 정씨, 최씨, 이씨 순이다. 이 마을에서는 논농사 관련 민요와 부녀요 등 총 35편 정도의 민요가 채록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6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두평리 구암에서 채집한 두름박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양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매야 할 논이 얼마 안 남았을 때 부르는소리가 두름박파는소리인데, 느린 소리와 빠른 소리의 구분이 있어 느린 소리를 진 두름박이라 하여 먼저 부르고, 빠른 소리를 잘룬 두름박이라 하여 그 다음에 부른다. 두름박은 전남에서 장성에서만 채록되었고, 전북에서는 이 마을에서만 채록되었다.(순창에 비슷한 제목의 노래가 있으나 다른 노래이다.) 이 마을에서 산길을 따라 고개를 넘으면 장성군이다. |
가사 | <진 두름박>
뚜루루루루루루 으음 음음하아 아아아하 음허 위이여어헤 뚜루루루루루루 으음 음음아하 아아아하 위이여에 위이여어헤 진시황 어어허 진시황과 한무제는 재산 없어 죽었으며 삼국 명장 제갈공명은 재주 없어서 죽었을까 (잠시 쉬고 ) 재주 없어 죽었으을까 하 뚜루루루루루루 으음 음음아하 아아아하 위이여에 위이여어헤 역발산 으으흐 역발산 기개세 한왕은 초패왕은 시불이여 주불서1) 라 우미인으 손목 잡고 눈물 뿌려 이별이네 (잠시 휴지 ) 눈물 뿌려 이별이로구나하 뚜루루루루루루 으음 음음아하 아아아하 위이여에 위이여어헤 동남대풍 으으 목우유마 상통천문 하달지라 전무후무 제갈공명 난세 위왕 조조 (그렇지요 ) (잠시 휴지 ) 위왕 조조는 연연추추 처량허네 뚜루루루루루루 으음 음음아하 아아아하 위이여에 위이여어헤 <잘룬 두름박>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옥향앵비는 편편금이요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화관접무는 분분설이로다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꽃 속의 잠든 나비는 자취 없이 날아든다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화작작작 봄나비 쌍쌍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꽃은 피어서 청산이 되고 뚜루루루루음바아 어하 어하 위이 이리이 이리이 이리이 이리이 이리이 이리이 함께 : 이리이 야아 아 하 아 아 아 음허어 어 위이여에 에얌 에얌 에얌 에얌 1) 시불이여 주불서: 시불리혜 추불서(時不利兮 騅不逝). 때가 불리하니 오추마도 나아가지 않는다. 항우의 시의 두번째 구절. 오추마(烏騅馬)는 항우의 애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