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어이기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의 그물당기는소리-어이기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인옥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인옥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은 총 60호 18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 고추 등의 농산물과 조개, 망둥어, 조기 등 각종 해산물을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는 반농반어의 마을이다.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장으로 간다. 논농사 관련 민요와 부녀요를 중심으로 총 30여 편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에서 채집한 어이기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인옥이 참여하였다. 그물을 당길 때 부르는소리로, 처음에 그물을 천천히 당길 때 부르는소리라 한다. “노를 저을 때나 닻줄을 꼴 때도 역시 (그물당기는소리) 그 소리를 한가지로 불렀다”고 한다. 이 마을은 바닷가 마을로 부근의 칠산바다는 “모든 고기들이 칠산바다 물을 마셔야 알을 깔 수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기가 많은 바다였다. 봄에 조기철이 되면 모를 심기 전까지 음력 3, 4월에 조기를 잡았고 모내기 때는 들어온 조기가 나가는 때였다고 한다. 배 하나에 열두 명이 타는데, “열두 명 뱃꾼 중에서 화장(앞잡이, 총책임자)이 일을 하면서 선소리도 메겼다”고 한다. 풍물은 치지 않았고, 가래질 소리도 없었다고 한다. 칠산바다는 “부근에 칠멧등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조기철이 한창이면 조기들 울음소리가 시끄러워 잠을 못 잘 정도로 조기가 많았고, 우리가 조구 잡을 때는 호랭이도 담배를 200원 짜리는 안 피었을 정도로 조기가 많이 잡혔다”고 한다. |
가사 | 어기야하
어기야하 어기야 뒤야 어기야하 당거 가세 어기야하 당거를 가세 어기야하 어기야 끝망을 따라서 어기야하 당거를 가세 어기야하 우리 동무 어기야하 열두 동무 어기야하 어어기 야아하 어기야하 어기야 한 수만 빠지면 어기야하 집안 식구 어기야하 어기야 다 굶어 죽은게 어기야하 이 때 한 때 어기야하 서두러 허어서 어기야하 어기야 돈 벌어서 어기야하 연꽃을 받고1) 어기야하 우리 고향 어기야하 들어를 가게 어기야하 어기여 허어어 어기야하 죽은 나무를 꺼꿀로 타고서 어기야하 목심을 걸고 어기야하 수중으 가네 어기야하 어기야 뒤야하 어기야하 언저 언저 어기야하 돈 벌어 가지고 어기야하 우리 고향 찾어가서 어기야하 우리 부모 어기야하 처자 자식 어기야하 어기야 상봉헐까 어기야하 어기야 뒤이야 어기야하 얼름 잠꽌 어기야하 뽑아서 실코 어기야하 우리 고향 가세 어기야하 어야 뒤야 어기야하 명산 대천 어기야하 불공을 말고 어기야하 나 대이는 디 괄세 말어라 어기야하 어야 디이야 어기야하 1) 연꽃을 받고: 고기를 많이 잡으면 배의 돛대에 봉기를 꽂고 봉기 위에 연화를 다는 데서 나온 말로, 만선을 했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