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술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의 그물당기는소리-술배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인옥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인옥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은 총 60호 18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 고추 등의 농산물과 조개, 망둥어, 조기 등 각종 해산물을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는 반농반어의 마을이다.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장으로 간다. 논농사 관련 민요와 부녀요를 중심으로 총 30여 편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에서 채집한 술배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인옥이 참여하였다. 조기가 많이 잡혀서 좀 더 빨리 잡아당길 때는 바로 앞의 “어이기 야아하” 대신에 “어하 술배야” 하는 술배소리를 했다고 한다. |
가사 | 어하 술배
어하 술배야 어기야 수훌배 어하 술배야 어기야 뽑아 올리소 어하 술배야 걸고자 걸었네 어하 술배야 어기야 한 코 두 코 어하 술배야 맺인 망자 어하 술배야 코코마닥 어하 술배야 황금 같은 요내 조구 어하 술배야 우리 뱃머리로 어하 술배야 머리를 돌려 어하 술배야 코코마다 걸렸구나 어하 술배야 이런 재미를 어하 술배야 우리가 볼라고 어하 술배야 어른 애기 울려가며 어하 술배야 한 코 두 코 맺었네 어하 술배야 명천하신 어하 술배야 요왕님네 어하 술배야 어기야 나를 돌봤네 어하 술배야 명사십리 어하 술배야 해당화야 어하 술배야 니 꽃을 진다고 어하 술배야 설워를 마라 어하 술배야 명년 삼월이 어하 술배야 돌아를 오오면 어하 술배야 어기야 꽃도 피고 어하 술배야 잎도나 핑게 어하 술배야 일어나소 어하 술배야 일어를 나소 어하 술배야 아기 어멈 어하 술배야 일어를 나소 어하 술배야 세살창으 어하 술배야 해으야 해 비쳤구나 어하 술배야 어이야 술배 어하 술배야 그만 저만 어하 술배야 간딴히 끝냅시다 어하 술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