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림땅에 강처나야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의 강림땅에 강처나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31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고창군 |
생산지역 상세 |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2 , 강림땅에강처나야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전라북도 , 전북 , 고창군 , 1991 , 1995 , 강림땅에 강처나야 , 김순례 , 독창 , |
실연자 | 김순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례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은 총 60호 180여 명의 각성바지 주민들이 벼, 고추 등의 농산물과 조개, 망둥어, 조기 등 각종 해산물을 생업으로 하여 살고 있는 반농반어의 마을이다.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장으로 간다. 논농사 관련 민요와 부녀요를 중심으로 총 30여 편의 민요를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미산·각동에서 채집한 강림땅에 강처나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례가 참여하였다. 대표적인 서사민요 중의 하나. 한 번 혼인을 언약하면, 혼인식 전에 신랑이 죽더라도 평생을 홀로 살아야 하는 조선조 여인들의 한과 눈물을 매우 극적인 이야기로 노래하고 있다. “강실 강실 강도령님 강돌책을 옆에 끼고”로 시작하는 강실도령 노래와 좋은 대비를 이룬다. |
가사 | 강림땅에 강처나야 성림땅에 성처나야
어느 때나 보았다고 혼연신고를 하였든가 날이라고 받은 것이 정월 초하룻날 받었군요 날이라고 밀친 것이 이월이라 초하룻날 왼 소 잡어 칼 꽂아놓고 앵기1) 잡어서 울을 찌고 신랑이나 오시는가 손님이나 오시는가 저무새나2) 기두린게 서울에서 편지 왔네 앞문 악케 받어 갖고 뒷문 악크 피어 본게 신랑 죽은 편지라네 어매 어매 우리 어매 암박 같은 요내 머리 풀고 가야 옳인당가 땋고 가야 옳인당가 오 원짜리 짚신 신고 해명태명 내려가서 서울 땅에로 올라가서 첫째 대문 들으가서 시금시금 시아버님 저 왔이니 문 여시오 마음 창창 내 자슥아 수천 리 오는 길에 우리 새끼 볼라거든 니모 뽄뜻 장판방에 허려끈 대님이 걸렸걸랑 그놈일랑 보아 도라 두째 대문 들어가서 시금시금 시어머니 마음 창창 내 자슥아 수천 리 오는 길에 한탄 말고 들오니라 우리 새끼 볼라거든 니모 뽄뜻 장판방에 언득뻔득 세살창에 허려끈 대님이 걸렸구나 셋째 대문 들어가서 시금시금 시누아기 저 왔으니 문 여시오 마음 창창 우리 성님 우리 오빠 볼라거든 니모 뽄뜻 장판방에 언득뻔득 세살창에 허려끈 대님이 걸렸으니 우리 오빠 본 듯 보고 어매 어매 우리 어매 서 서울서 부는 바람 바람으로 알지 말고 요내 한숨 알아 주소 어매 어매 우리 어매 서울 서울서 오는 비는 농사 비로 알지 말고 요내 눈물로 알아 주소 1) 앵기: 연계, 영계. 2) 저무새나: 저무나 새나. 날이 저물거나 새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