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강강술래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강강술래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복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장복례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강강술래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복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강강술래 계통의 놀이에서 불려지는 노래들이다. 여럿이 손을 잡고 달팽이 모양으로 말아들어갔다가 풀어나오는 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가 덕석몰이이고, 서로 이어 잡은 팔 사이사이로 차례차례 빠져나가는 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가 청어엮기이다. 노리개타령은 따로 불려지기도 하고 이처럼 강강술래의 일부분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창자들은 이 밖에도 개구녁 쏘기, 지와 볿기, 노선일레 등의 놀이가 있다고 했으나 온전하게 기억해 내지는 못했다. 이처럼 강강술래는 전남의 남해안 지방이 아닌 전라북도 서해안지방에서도 행해졌다. |
가사 | <진 강강>
강강 수울래 강강 수울래 못 헐래라 못 헐래라 강강 수울래 낮에로는 동냥공부 강강 수울래 밤에로는 염불공부 강강 수울래 달 떠오네 달 떠오네 강강 수울래 강호1) 방에 달 떠오네 강강 수울래 강호님은 어디를 가고 강강 수울래 저 달 뜬지 모르신가 강강 수울래 담 안에다 박을 심어 강강 수울래 담 밖에로 순을 뻗어 강강 수울래 울어마니 어디를 가고 강강 수울래 박순 줄지 모르신가 강강 수울래 박순 줄 줄 안다마는 강강 수울래 열쇠 없는 쟁긴 문에 강강 수울래 쇠때 없어 못나온다 강강 수울래 뱅풍 안에 기린 장닭 강강 수울래 두 날개를 퍼덕 치면 강강 수울래 울어마니 오실랑가 강강 수울래 <노리개타령> 울아바니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간지설대2)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울어마니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막내딸이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우리 성제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바늘 골미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우리 성님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연지분이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우리 오빠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먹과 붓과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우리 종으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함박 쪽박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우리 머심 노리개는 강강 수울래 지게 통발 노리갤레 강강 수울래 <자진 강강> 강강 술래 얕은 마당이 짙어나 진다 강강 술래 짙은 마당이 얕어나 진다 강강 술래 천지가 개벽헌다 강강 술래 바다가 육지되고 강강 술래 육지가 바다되고 강강 술래 어느 구름이 날 키웠냐 강강 술래 안개자손이 날 키웠다 강강 술래 언덕꿍 뻔덕꿍 은비네 꼭지 강강 술래 어깨 너메로 날 속인다 강강 술래 저 건네라 거적문 안에 강강 술래 큰아기 한 쌍이 노는구나 강강 술래 당사실로 낚어낼까 강강 술래 청사실로 낚어낼까 강강 술래 청사 당사 못 낚으면 강강 술래 도리자세3) 로 낚어내자 강강 술래 양달이 쪽으 양꼬사리 강강 술래 응달이 쪽에 응꼬사리 강강 술래 오동뽀동 꺾어다가 강강 술래 조그만헌 노구솥이 강강 술래 얼름 살짝 디쳐내어 강강 술래 아랫물에 싯쳐갖고 강강 술래 웃물에 헹궈갖고 강강 술래 삼 년 묵은 지름장에 강강 술래 오 년 묵은 깨소곰에 강강 술래 오물조물 무쳐갖고 강강 술래 그렁저렁 채린 것이 강강 술래 열두 상 반을 채렸구나 강강 술래 내라오는 보배들아 강강 술래 올라가는 선비들아 강강 술래 이 잔치 오시거든 강강 술래 잡수시고 질겁게도 강강 술래 먹고서 놀다가소 강강술레 <덕석몰이> 가 : 몰자 몰자 덕석 몰자 나 : 오 헤나 덕석 몰자 가 : 몰자 몰자 덕석 몰자 나 : 몰아 간다 몰아 가 가 : 오 헤나 덕석 몰자 나 : 돌아 간다 돌아 가 가 : 풀자 풀자 덕석 풀자 나 : 풀어 간다 풀어 가 가 : 풀자 풀자 덕석 풀자 나 : 오 헤나 풀어 가자 <청어영짜> 함께 : 영짜 영짜 청에 영짜4) 유도 군산에5) 청에나 영짜 함께 : 영짜 영짜 청에 영짜 유도 군산에 청에나 영짜 1) 도리: 가락토리. 2) 가락골: 물레의 부품으로, 물레가락을 꽂아 놓는 구멍. 3) 강호: 사람의 이름인 듯. 4) 간지설대: 간죽(竿竹)으로 만든 담배설대. 5) 도리자세: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만든, 실이나 끈을 감는 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