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산아지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산아지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복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장복례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산아지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복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산아지타령은 옥구군·김제군 등지에서는 논매는소리로 불려지고 있는데, 이 마을에서는 여럿이 모여서 놀 때 빠짐없이 부르는 노래로 되어 있다. 요즘에도 할머니들이 단체로 놀러가거나 하면 이 노래를 흥겹게 부른다고 한다. 신식 가사가 보인다. |
가사 | 임 보고 싶으면 사즌을 보고
빠르고 싶으면 전화만 걸소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떴다네 떴다네 무엇이 떴냐 우편소 마당에 임소식이 떴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원제나 죽어서 오도막게1) 되야 정든 님 팔 위여 갱겨를 볼꺼나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윤선은 가자고 쌍고동 트는데 임만 잡고서 아바발발 떤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보싸올 챙고야 우다시2) 뱃놈들 하누바람만 불면은 돛달아 붙인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저 달 뒤여는 빌이 종종 딸코 저 빌 뒤여는 우르 님이 딴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임이나 종종에 날 셈겨 주면 나도야 종종에 임 셈겨주리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똥추매3) 밑이여 소주벵 달고 오동낭게 숨풀로 임마중 간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저 산 너메여 소첩을 두고 밤질 걸기만 난감허냐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산천 초목은 붉어야 좋고 우르집 서방님은 저젊어야 좋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니가 날만큼 생각을 헌다면 나도야 종종에 임 셈겨주리라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살림살인가 지랄인가 헐 똥 말 똥 허는데 호박넝출 박넝출은 삼 간 초당을 덮느냐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언니는 좋겼네 언니는 좋겼네 아우나 동생아 그 말을 말어라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금전 없다고 한탄을 말고 있는 금전을 아껴서 쓰소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술만 잘 먹어 한량이 되느냐 마느래 돈 잘 써주어 한량이 된단다 에야뒤야 에헤헤헤야 에야디여루 산어니로구나 1) 오도막게: 우데마끼. 시계의 일본어. 2) 우다시: 우라시. 조기배. 3) 똥추매: 뉴똥치마 혹은 청치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