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물메기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물메기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순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남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물메기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남이 참여하였다. 물메기가 잡혀서 사람에게 먹히는 과정을 노래하고 있다. |
가사 | 물메기 한 쌍이
어등1) 밑이서 삼팔 년을 살아도 꿈 뀌는 법이 없더니 간밤에 꿈을 뀌니 능금 한 쌍이 입에 물려 공중으로 오리더니 지와로2) 내리더니 열 놈이 모이더니3) 천하로 핑기는구나4) 임에 풍풍 둘러치디5) 동쌍으로 오리는구나6) 새벽눈이 살살이 온다7) 비수가 왔다 갔다 번갯불이 번쩍번쩍 붉은 고개8) 로 후딱 넘어 하관9) 으로 쏙 빠지네 1) 어등: 어덕. “언덕”, 또는 “벼랑”의 사투리. 2) 지와로: 기와로. 땅 위로. 3) 열 놈이 모이더니: 사람이 열 손가락으로 낚시에 잡힌 고기를 빼내는 꿈. 4) 천하로 핑기는구나: 공중으로 올라가는 모양 5) 임에 풍풍 둘러치디: (물메기가) 어망 속에 갇히는 모양을 말함. 6) 동쌍으로 오리는구나: 고기를 굽는 석쇠나 판 위로 올라가는구나. 7) 새벽눈이 살살 온다: (물메기를) 굽기 위해 소금을 뿌리는 모양. 8) 붉은 고개: 사람의 목구멍. 9) 하관: 항문. |